주5일 근무제 관련 법안의 국회 심의에 맞춰 재계와 노동계가 정면충돌로 치닫고 있다. 재계는 이번 기회에 노동계의 파업 위협에 굴복하지 말고 주5일제 정부안을 수정없이 기필코 입법시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국회의 주5일 근무제 법안 처리를 저지하기 위해 19일 시한부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박용성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이날 상의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정부안 자체가 이미 노·사·정의 3년간 절충안이기 때문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정부안을 수정하는 것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국회에 촉구했다. 그는 노동계의 움직임과 관련,"노동계의 파업 위협에 더 이상 굴복할 수 없다"며 "며칠 파업하는 것으로 우리 경제가 결딴나는 것이 아닌 만큼 불법파업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결연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재계는 노동계의 불법파업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재산 가압류 등 민·형사상 책임을 엄정하게 물을 것"이라고 강경 대응 방침을 밝혔다. 그는 "이번 8월 임시국회에서 주5일 근무제를 통과시키지 못하고 가을 정기국회로 넘기면 다른 정치 사안에 밀리고 총선 일정에 쫓기게 돼 결국 처리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며 "정치권이 8월 임시국회에서 주5일 근무제에 대한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명관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도 이날 "불법파업 위협에 굴복해 주5일제 정부안을 수정하거나 정부안에서 후퇴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 전경련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가세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역시 "양 노총의 총파업 선언 등에 구애받지 말고 과연 국가경제를 위해 어느 쪽이 바람직한가를 판단해 주5일제 문제를 처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재계가 이처럼 강경 대응 방침을 밝히고 있는 것은 이번에 국회에서 주5일 근무제 법안이 처리되지 않으면 주5일 근무제를 놓고 또 다시 원점에서 불필요한 논란으로 허송세월을 보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남순 한국노총 위원장과 단병호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날 국회 앞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국회의 주5일 근무제 법안 처리를 저지하기 위해 19일 시한부 총파업을 벌인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19일 오전에는 한국노총이,오후에는 민주노총이 각각 시한부 총파업을 벌인다. 노동계는 "주5일제 도입으로 휴일이 늘어나는 데 따른 임금 삭감은 근로조건 악화를 초래하는 것이므로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국회에 제출된 정부안은 노동계의 요구에 크게 미흡하므로 대폭 수정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양대 노총은 "주5일 법안은 임시국회에서 졸속으로 처리돼서는 안되며 노사 당사자간 지속적 재논의를 통해 합의를 이룬 후에 처리돼야 한다"며 "만약 정치권이 정부의 주5일 법안을 강제로 처리한다 해도 이에 관계없이 사업장 단위에서 임단협을 통해 투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노조가 총파업 등 실력행사를 예고하고 재계 역시 결연한 정면 돌파 의지를 보임에 따라 주5일제 문제를 둘러싼 노사간 정면충돌은 폭발점을 향해 치닫고 있다. 정구학·김태철 기자 c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