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성남시 주요 재건축단지들이 용적률 하락으로 인해 사업성이 크게 악화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6월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성남지역 주요 재건축단지의 용적률이 예상보다 10% 이상 낮아지면서 조합원들의 추가부담금 인상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따라 뒤늦게 뛰어든 일부 투자자들은 적잖은 손해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다 최근 중흥구와 수정구가 주택투기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재건축아파트의 매매 거래까지 얼어붙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조합과 시공사가 2백%대 후반의 용적률을 기대했지만 대부분 2백50%를 넘지 못했다"며 "그동안 재건축 기대감으로 집값이 치솟았지만 용적률 인하와 추가부담금 인상이란 복병을 만나 거품이 꺼질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용적률 10% 이상 하락 올들어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단지들은 대부분 용적률 하향 조정이라는 벽에 부딪쳤다. 성남시가 용적률 가이드라인으로 2백50%를 고수했기 때문이다. 이 지역에서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단지는 금광동 동우·검단·보라·통보 4차,성남동 올림픽아파트,하대원동 OPC와 성원,태평동 청운과 목화 건우 등이 대표적이다. 동우 등 금광동 일대 4개 단지는 그나마 나은 편이다. 당초 2백94%의 용적률로 사업승인을 신청했으나 2백80%를 받았기 때문이다. 최근 관리처분총회를 열고 무상지분율 1백55%를 결정했다. 내년 초 3백36가구를 일반분양한다. OPC와 성원은 용적률이 당초보다 11% 낮아진 2백40%선에서 결정됐다. 올림픽아파트는 용적률이 40%나 깎여 2백40%밖에 되지 않는다. 이같은 용적률 하향 조정은 일반분양 물량의 감소를 의미한다. 이밖에 청운 및 목화아파트는 각각 2백50%와 2백65%의 용적률을 받았지만 부대시설 등의 공사비가 부담이다. ◆투자자 피해 늘듯 예상보다 낮은 용적률은 곧 추가부담금 상승을 뜻해 시공사와 조합원들간 분쟁을 낳고 있다. 태평동 소재 J공인 관계자는 "지난해 고도제한 완화 등으로 인해 가격이 급등한 가운데 올 초 재건축을 기대하고 투자한 단타족들의 경우 추가부담금 인상으로 애를 먹고 있다"며 "재건축 투자가 반드시 대박을 터뜨리는 성공 재테크만은 아니다"고 경고했다. 성원아파트의 경우 21평형(시세 1억8천만원)의 조합원이 32평형으로 옮길 경우 당초보다 4백만원 정도 오른 7천3백만원 남짓을 추가부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아파트는 24일 관리처분총회를 열어 추가부담금을 확정하게 된다. 태평동 일대 단지들도 추가부담금 문제가 불거지면서 거래가 얼어붙고 있다. 목화아파트의 경우 지난해부터 총 1백가구 중 40가구 이상에서 손바뀜이 일어났지만 최근 들어선 거래가 끊긴 상태다. 또 청운 21평형(1억7천만원선)이 32평형으로 옮길 경우 예상 추가부담금이 1억2천만원에 달해 주변 아파트 최고 가격을 웃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부분 단지들의 매매 거래는 3개월 이상 실종상태에 빠져 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