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의 19일 의원총회에선 김두관(金斗官)행정자치부장관 해임건의안 처리문제와 주5일근무제 관련 근로기준법 개정 문제를놓고 난상토론이 벌어졌다. 특히 주5일 근무제와 관련해선 의원간 견해차가 너무 커 격론끝에 결국 설문조사 형식을 빌린 투표로 당론을 모으기로 하는 등 `정부안 고수'를 밝혀온 지도부의리더십에 한계를 드러냈다. 한총련의 미군 훈련장 및 한나라당 지구당사 시위로 촉발된 김 행자장관 해임건의안 처리문제에 대해서도 10여명의 의원이 발언에 나서 찬반의견을 개진하는 등 치열한 논란이 전개됐다. ◇김 행자 해임안 = 유흥수(柳興洙) 의원은 "김 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 제출은국정혼란을 일으키고 있는 노무현 정권에 대한 퇴진운동의 시발점"이라며 "한나라당은 대단한 결심을 해야하며 당장 `대통령 하야 결의안'이라도 내야 할 판"이라고 주장했다. 장광근(張光根) 의원도 "해임건의안은 결코 장관 한 명을 잡겠다는 것이 아니다"면서 "엄청난 후폭풍을 불러올 사안으로 현 정부의 대북.대미.안보정책에 대한 야당 및 국민의 심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신중론'을 펴는 의원도 많았다. 이성헌(李性憲) 의원은 "김 장관 해임안에는 `감히 한총련이 한나라당의 간판을 떼어가는데도 막지 않아'라는 의원들의불쾌한 속내가 담겨있다"고 지적하고 "한나라당은 국민이 무엇을 바라는 지 변화를읽어내야 하며 원내 제1당의 큰 힘은 신중하게 써야 한다"고 맞섰다. 남경필(南景弼) 의원도 "김 장관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 국민은 단순한 국정혼란상황으로만 보게 된다"면서 처리 반대 의견을 내놓고 "앞으로 국회에서 장관들을 불러 따진후 국정 전반에 문제가 있으면 내각총사퇴를 주장하면 된다"고 말했다. 그러자 심재철(沈在哲) 의원은 "해임안 진행은 `발목잡기'로, 중단은 `오락가락'으로 비치는 오점이 있지만 특검제, 방탄국회에 이어 해임안마저 오락가락하게되면손실이 너무 많다"고 `손실론'을 내세웠다. 심지어 홍사덕(洪思德) 총무가 해임안 처리로 당론을 결집한 후에도 "해임이 아니라 탄핵으로 가야한다"는 엄호성(嚴虎聲) 의원의 강성발언이 나오기도 했다. ◇ 주5일 근무제 = 김락기(金樂冀) 의원과 서병수(徐秉洙) 의원이 `여성노동자피해론'과 `기업 자율론'을 내세워 정부안 처리에 강력 반대했다. 이에 오세훈(吳世勳) 이상득(李相得) 박종근(朴鍾根) 의원은 "노조에 밀리고 있는 기업의 현실을 감안해 최소한 정부안이라도 시급히 처리해야 한다"는 `현실론'을주장했다. 김 행자장관 해임안 및 주5일 근무제 처리에 팽팽히 의견이 갈렸던 의원들은 그러나 노 대통령 측근 비리의혹 관련 국정조사 요구에 대해서는 박수로써 한 뜻을 모으고 지도부에 강력한 실행을 요구했다. (서울=연합뉴스) 강영두기자 k027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