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운송하역노조 화물연대가 마지막 협상일로 못박은 19일 운송업체 대표들과 심야 교섭을 벌였으나 의견이 팽팽히 맞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화물연대는 이번 협상이 결렬될 경우 '이달 20일 이후 전면 파업에 들어간다'고 선언했기 때문에 자칫 '제2의 물류대란'이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난항 겪는 협상=화물연대는 이날 민주노총 서울사무실에서 운송업체,컨테이너,BCT(벌크 시멘트 트레일러·가루 시멘트 운송차량)업체 대표들과 만나 막판 심야협상을 벌였다. 핵심 쟁점은 운임료 인상 수준.지난 5월 대정부 협상에서 경유세 인하 등 '과실'을 따낸 화물연대는 그동안 △컨테이너 △BCT △일반화물 등 3개 분야로 나눠 운임료 협상을 벌여왔다. 이중 컨테이너 분야는 운임료를 13% 정도 올리는 데 의견 접근을 봤다. 일반 화물 분야는 화물종류에 따라 운송료가 각기 다른 탓에 협상은 제자리 걸음을 걷고 있지만 화물연대는 이번 파업의 대상으로 삼지 않을 방침이다. 문제는 BCT 분야다. 화물연대측은 "BCT 분야가 타결되지 않을 경우 컨테이너까지 동조 파업하겠다"고 선언했다. 양측은 덤핑 경쟁을 막기 위해 '서울∼부산 노선은 최저 얼마에서 최고 얼마'식으로 구간별 최저·최고 요율제를 도입하는 데는 의견 접근을 봤으나 '중앙 일괄협상이냐,업체별 개별협상이냐'를 놓고 이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송료 인상 협상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물류대란으로 이어지나=화물연대는 협상 결렬시 파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실제 파업으로 이어질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지난 5월에 이어 2차 파업에 대해선 화물연대측도 부담을 느끼고 있다. 그러나 이미 파업 방침을 밝힌 상태에서 아무런 명분없이 파업방침을 철회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파업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건교부는 이달 20일 화물연대의 국회 앞 집회일정은 '파업'이 아닌 민주노총의 '주5일 근무제 정부안 반대투쟁'에 대한 동조 '시위'로 파악하고 있지만 지역별로 산발적인 파업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다만 화물연대가 파업하더라도 파급 효과는 지난 5월에 비해 크게 약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파업 초기부터 공권력을 투입해 가담자를 사법처리하는 한편 군·경이 보유한 견인차로 부산항 등 주요 거점을 점거한 화물차량을 즉시 견인할 계획이다. 건교부 관계자는 "화물연대 소속 차량(2만5천대)은 전체 5t 이상 화물차(19만7천대)의 10∼20% 수준에 불과하다"며 "비화물연대 차량을 적극 투입하고 불법 점거차량을 견인하는 것만으로도 물류대란은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