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는 정부와 사용자측에 정면대응할지,재협상에 나서는 등 실리를 선택할지 기로에 놓였다. 화물연대는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과 함께 공동 대응을 모색하고 있지만 향후 투쟁기조를 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강경대응 정부는 25일 고건 총리 주재로 화물연대 관계 장관회의를 열고 화물연대측의 불법행위에 대해 엄정하게 대응하겠다는 종전의 방침을 재확인했다. 특히 집단행동을 주도한 화물연대 지도부에 대해서는 업무방해죄를 적용키로 하고 서울경찰청 소속 68명의 경찰관으로 검거 전담반을 구성했다. 그러나 극적인 타결 가능성을 고려해 검거반 투입 여부는 협상 추이 등을 고려해 결정할 계획이다. 건교부 관계자는 "지난 5월에 이어 이번에도 화물연대에 끌려다닐 경우 유사한 파업이 잇따를 수 있다"며 "불법 파업에 대해서는 예외 없이 법대로 처리한다는 것을 보여줄 계획"이라고 말했다. ◆운송업체 "파업철회해야 대화" 입장고수 컨테이너 운송업계 대표들은 당초 이날 오후 3시께부터 서울 서초구 방배동 화물연합회 회관에서 화물연대와 협상할 계획이었으나 내부적으로 '더 이상 얘기해봤자 나올게 없다'는 의견이 우세해짐에 따라 일단 대화를 거부했다. 컨테이너 업계 관계자는 "화물연대가 파업을 풀지도 않은 채 협상을 통해 시간을 끄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견이 우세하다"며 "이미 '운송료 13% 인상'에 합의한 만큼 만나더라도 얘기할게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운송업체들도 물류대란에 따른 부담이 워낙 크기 때문에 화물연대측과 물밑교섭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화물연대측이 컨테이너 부문 협상 타결시 BCT와 별도로 먼저 파업을 풀 수 있다고 제안할 경우 협상은 급속도로 진전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BCT(벌크 시멘트 트레일러·가루시멘트 운송차량) 부문은 협상 일정조차 잡지 못하는 등 타결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기로에 선 화물연대 정부와 운송업계가 강경 대응 방침을 고수함에 따라 화물연대도 대응에 나섰다. 화물연대는 우선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과 함께 '공동 변호인단'을 구성,정부의 지도부 사법처리 방침 등에 대해 강력 대응키로 했다. 이들은 경찰에 연행되는 조합들을 위한 법률 지원활동도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화물연대는 "정부는 휴게실에서 면담 대기중이던 조합원들을 연행하고 경찰서로 면회간 조합원을 계단에서 밀어뜨려 병원에 입원하게 했다"며 "정부의 불법적인 법 적용에 대해 강력하게 맞서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물류차질이 본격화되면서 여론이 등을 돌리고 있는데다 정부가 강경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는 만큼 화물연대의 입장에도 변화가 있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정부와 운송업계의 강경 기조는 조합원들을 자극하여 사태의 장기화를 초래할 것"이라면서도 "앞으로의 투쟁계획 등을 집중 논의한 뒤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