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운송하역노조 산하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로 부산항의 물류가 6일째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한국노총 소속인 부산항운노조가 이를 `무분별한 집단행동'이라고 비난하고 자제를 촉구하고 나섰다. 부산항운노조는 26일 성명을 내 "중국 상하이항을 비롯한 주변 항만들이 동북아물류중심 확보를 위해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속에서 지난 5월 화물연대의 집단행동은 항만마비로 인한 국가신인도 추락이라는 치유못할 상처와 후유증을 남겼다"고 지적했다. 항운노조는 이어 "최근 외국 대형선사들의 부산항 기피현상과 함께 주변항들의물동량 추월로 위기감이 극에 달한 이 때 또 다시 진행되고 있는 화물연대의 집단행동은 부산항을 삶의 터전으로 하고 있는 항만근로자들에게 생존권 위협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부산항의 국제경쟁력을 굳건히 함과 동시에 국가경쟁력의 마지막 보루인 항만물류산업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해 갈 것을 간곡하게 호소한다"며 "부산항의 위상과 항만근로자들의 생존권이 특정 이익집단의 무분별한 행동으로 짓밟히는 것을 더이상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부산항 각 부두에 노무인력을 공급하고 있는 부산항운노조의 이같은 대응은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일감이 줄어들어 소속 노조원들의 수입이 크게 감소하고 있고 향후 부산항의 경쟁력 저하로 더 큰 손실을 볼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부산항운 노조원 5천300여명 중 3천700여명은 도급 근로자로 화물을 처리하지않으면 임금을 받을 수 없는데 2천여명이 일하는 일반부두는 야적장 장치율이 90%대에 달해 노조원 대부분이 일손을 놓고 있다고 항운노조는 설명했다. 부산항운노조가 이처럼 파업에 공식대응하고 나섬으로써 화물연대 조합원들과의마찰과 한국노총과 민주노총간 갈등으로까지 번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제기되고있다. (부산=연합뉴스) 이영희 기자 lyh9502@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