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행정부는 북핵 6자회담을 다자 틀 속에서 북핵현안을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주요한 첫 단계'로 보고 있다. 북핵사태 해결을 위한 베이징 6자회담 시작을 하루 앞둔 26일 미국 국무부 당국은 이번 회담을 '주요한 단계'라고 평가하고 6자회담 개최 자체가 부시 대통령과 콜린 파월 국무장관이 추진해온 북핵 외교가 주효했다는 반증이라고 강조했다. 부시 행정부는 27일부터 29일까지 베이징에서 열리는 6자회담에서 미-북간 별도의 양자대화는 없다고 못박으면서도 6자회담 진행중 회담장이나 협상테이블의 미-북간 쌍무대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부시 행정부의 그같은 입장에 따라 베이징 회담 미국측 대표인 제임스 켈리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는 이날 베이징에서 중국 및 러시아 대표와 각각 쌍무회담을 하는 한편 한국-일본 측 대표와 3자회동을 했으나 북한측과는 사전 접촉이 없었다고 필립 리커 국무부 대변인이 전했다. 미국은 회담을 하루 앞두고 한국을 비롯해 중국, 러시아, 일본 등 다른 참석국 대표들과 사전 접촉을 함으로써 마치 6자회담을 앞두고 북한을 외교적으로 압박하고 있는 듯한 양상이다. 워싱턴 외교관측통들은 이와 관련해 베이징 6자회담은 27일과 29일 두 차례 예정돼 있다면서 회담 일정에 비추어 27일과 29일 회담이외에 28일은 공식 회담이 비어있어 미-북 대표간 비공식 접촉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내다봤다. 리커 대변인은 "북핵문제는 다자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다자간 문제"라면서 "미국이 6자회담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도 바로 그같은 이유"라고 설명했다. 국무부측은 이번 회담은 북핵폐기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강조해 북핵 폐기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이에 따른 북한 체제보장 문제가 집중 논의될 것임을 거듭밝혔다. 베이징 6자회담을 바라보는 워싱턴 기류는 6자회담은 북핵현안 논의를 위한 협상장정의 시작이라고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이번 첫 회담에 특별한 기대는 하지 않는 듯한 분위기다. (워싱턴=연합뉴스) 김성수 특파원 ss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