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가 대북 경수로 사업의 운명을 결정할 집행이사회에 앞서 관련국들의 의견수렴 작업을 활발히 벌이고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27일 "KEDO가 조만간 열릴 집행이사회에 앞서 대북 경수로 사업의 공사중단 여부, 중단기간, 재개시점 등에 대한 한국.미국.일본.유럽연합(EU) 등이사국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밝혔다. KEDO는 지난달 29∼30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집행이사국간 비공식 회의를 가졌으며, 이 자리에서 집행이사국 4국은 '북핵 6자회담의 결과를 지켜보고 경수로 공사의 미래에 대해 조만간 결정을 내리자'는데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이날 베이징에서 개막된 북핵 6자회담을 마친 후인 오는 9월중 KEDO집행이사회가 개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미국은 경수로에서도 플루토늄 추출 가능성이 있는데다, 대북 경수로사업의 근거가 되는 제네바 합의가 사실상 깨진 상태에서 공사 지속은 무의미하다며 `완전 종료'(Termination)를 주장하고 있으며, 당초 `정지' 입장을 보였던 일본이 미국 입장에 기울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완전종료는 받아들일 수 없으며 기술적인 이유로 공사중단이 불가피하다면, `일시 중지후 호조건에서 재개하자'는 견해를 강력하게 피력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다른 관계자는 "어쩔 수 없이 공사가 중단돼야 한다면 그 기간은 얼마가돼야 할 지가 관심사"라면서 "이럴 경우 6개월, 1년, 1년6개월 등의 안이 있을 수있으며 이중 `1년 정지' 안이 유력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그 것은 어디까지나 안(案) 수준"이라며 "공사중단 여부와그 경우 중단 기간을 얼마로 할 지는 집행이사회 결정사항으로 특정 안이 채택된다고 하더라도 주변 여건에 따라 그 기간이 축소 또는 연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