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재정적자로 주요국 몸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세계 주요 국가들이 급증하는 재정적자로 몸살을 앓고 있다.
경기 침체로 세수가 크게 줄었지만,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지출은 계속 늘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8일 하반기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를 발표, "미국 등 선진국의 재정적자 확대는 '국채발행 증가→국채가격 하락→금리 상승→민간투자 위축→경기회복 부진'이라는 악순환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 재정적자 위험수위 넘었다 =미 의회예산국(CBO)은 올 재정 적자 규모가 4천1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4.2% 수준이다.
내년에는 상황이 더 나빠져 재정적자가 사상 최대인 4천8백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재정적자가 GDP의 3%를 넘으면 경제에 '빨간불'이 켜진다고 말한다.
특히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대규모 감세조치와 대 테러전쟁 비용증가로 미 재정적자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함께 세계 3대 경제권을 형성하는 일본과 유럽연합(EU)은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올해 일본의 재정적자는 3천억달러로 GDP 대비 7.5%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EU 회원국인 독일도 위험수위를 넘어 3.8%에 달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개도국들도 어렵긴 마찬가지다.
중국 정부는 연 8% 경제성장률을 달성하기 위해 올해 3천2백억위안(약 48조원)의 적자 예산을 편성해 놓고 있다.
홍콩 브라질의 재정적자는 지난해 GDP의 5%선을 훌쩍 넘었다.
◆ 금리상승은 경기회복의 '암초' =경기 활성화를 위해 재정지출을 늘리는 것은 정부의 역할이다.
그러나 과도한 재정적자는 중장기적으로 경제를 허약하게 하는 '독약'이 된다.
재정적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면 정부는 이를 보전하기 위해 대규모 국채발행에 나설 수밖에 없다.
그 결과 국채 공급이 늘면 '금리인상'이라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채권시장에서 신규 물량을 소화하기 위해 투자수익률을 높여 줘야 하기 때문이다.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각국은 금리를 낮춰 소비를 촉진시켜야 할 상황인데, 국채발행 확대로 오히려 금리가 올라가는 '정책상의 모순'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JP모건은 올해 미국 등 주요 22개국의 국채발행 총액이 지난 해보다 25% 늘어난 2조1천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국민연금 부채를 감안하면 불안감은 더욱 증폭된다"며 "각국 정부는 경기 회복과 함께 세금인상 방안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영석 기자 yoo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