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2차파업을 계기로 정부와 노동계가 정면충돌 양상으로 치닫는 것은 우려를 금하기 어렵다. 민노총이 공식성명서에서 대통령을 '선무당'이라는 상식이하 표현으로 비난하고 공권력 집행을 힘으로 저지하는 것은 특히 그러하다. 법원이 발부한 영장이 물리력에 의해 집행되지 못하는 것은 법과 질서의 위기를 뜻하는 것으로 결코 용납될 수 없는 일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화물연대 파업은 일방적인 불법행위로 민노총 활동에 정당성이 없어 보인다"며 "국가 주요기능을 볼모로 집단이익을 관철하려는 기도는 결코 용납해선 안된다"고 천명한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본다. 국가수반이 나라경제에 엄청난 피해를 입히는 물류대란을 수수방관한다면 그것이 오히려 이상한 일일 것이다. 민노총이 "선무당 노무현이 노동자 잡네" "노동운동에 대한 이해수준이 엉뚱하기 짝이 없다"는 등 대통령에게 차마 하기 힘든 원색적 표현까지 써가며 비난하는 것은 대단히 무례한 일이자 사태의 책임을 전가시키려는 의도로 밖에 볼 수 없다. 친노성향이라는 대통령이 왜 이렇게 변했는지 먼저 스스로 자문해보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조합원을 대거 동원해 사무실 압수수색을 막는 것도 상식의 범위를 넘어서는 일이다. 민노총이 법 위에 존재하는 단체일 수는 없다. 마구잡이 파업에 이어 또다른 불법행위까지 저지르는 것은 고립을 더욱 자초할 뿐이다. 민노총은 이제 물러서는 용기도 보일 줄 알아야 한다. 무분별한 집단이기주의에 염증을 내는 국민여론을 헤아릴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이번 파업은 부산항운노조가 '국가경쟁력을 볼모로 한 분별없는 집단행동'이라고 비난한 사실이 보여주듯 전체 노동계의 지지를 받고 있지도 않다. 정부는 이번에야말로 다소 희생을 치르더라도 반드시 법과 원칙을 세워야 한다. 정부가 단호한 태도를 지키자 화물연대조합원들이 속속 복귀하고 물류도 정상화돼가는 것은 법과 원칙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분명히 입증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