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93.4%가 환경문제가 심각하다고 인식하고있으며 현재의 환경상황을 100점 만점에 47.9점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는 국민은 지난 2000년 2.5%에서 1%로 크게 감소했고 경제활성화를 위해 환경규제를 완화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전체의 10.5%에 불과했다. 이같은 사실은 환경부가 여론조사전문기관인 월드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4일부터 18일까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일원에서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 1천명과 환경관련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면접 또는 통신수단을 통해 실시한 `환경보전에 관한국민의식조사' 결과 나타났다. 습지 및 갯벌 매립에 대해서는 81.9%가,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에 대해서는 65.8%가 각각 반대했고 야생동물 불법 포획자 및 식용자 처벌에 대해서는 83.3%가 찬성했다. 수돗물은 71.5%가 `식수로 부적합하다'고 답변했고 그 이유는 `막연히 불안해서'(32.2%), `냄새가 나서'(31.2%),`부적합하다는 언론보도'(11.2%) 때문에, `물맛이나빠서'(10.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돗물을 그대로 마신다는 응답은 지난 2000년 2.5%에 비해 크게 줄어든 1.0%에불과했고 정수기를 이용하거나 생수를 마신다는 대답은 같은 기간 2∼3배 이상 늘어나 수돗물에 대한 불신감이 계속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성화를 위해 환경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대답한 국민은 10.5%에 그쳤으며 수도권지역 주민의 56.9%, 비수도권지역 주민의 63.4%(전국적으로는 60.4%)가수도권의 입지규제 완화에 반대했다. 환경영향평가제도의 완화에 찬성한 응답자는 3.3%(환경관련 전문가는 1.0%)에불과했다. 환경질 개선이 시급하다고 인식하면서도 환경개선 비용은 57.6%가 부담할 의사가 없다고 대답했고 정부의 재원조달 방법으로는 환경오염 유발제품에 대한 부담금부과 강화(76.8%), 환경복권 발행(11.7%)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주체별 환경개선 노력에 대한 평가는 중앙정부, 시.도, 시.군.구, 국민 순으로나타났으며 지자체가 환경보전에 관심이 있다는 응답은 20.0%에 불과한데 비해 지역개발에 더 큰 관심이 있다는 지적은 73.8%에 달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오차 ±3.1% 포인트다. (서울=연합뉴스) 류일형기자 ryu625@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