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4 05:06
수정2006.04.04 05:10
가족과 함께 풍성하고 여유로운 한가위를 보내는 방법으론 인터넷을 빼놓을 수 없다.
내실있는 차례 준비는 물론 가족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즐길거리가 가득하다.
잊혀져 가는 고유의 민속놀이와 차례상 차리기에 관한 정보를 활용,온 가족이 함께 준비하는 한가위를 만들어보는 것도 또 다른 지혜다.
◆ 민속놀이
컴퓨터와 TV 게임에 익숙한 아이들에게는 민족 고유의 놀이를 알려 줄 수 있고 어른들에게는 아련히 잊혀졌던 동심으로 돌아갈 수 있는 민속놀이 정보를 알려주는 사이트가 다양하다.
세시이야기(www.sesistory.pe.kr)는 각종 세시와 다양한 민속놀이를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추석 설날 단오 등 각종 세시의 어원과 유래 풍속 등을 자세하게 소개,자녀들의 교육에도 제격이다.
소싸움 강강술래 고싸움 등 전통놀이에 관한 정보도 풍부하다.
한식과 상차림 정보도 제공한다.
전통자료실에는 세배법 차례지내기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실려있다.
놀이터(www.noriteo.lil.to)에는 재미있는 전래놀이를 플래시 애니메이션으로 볼 수 있다.
혼자나 여럿이 할 수 있는 놀이를 플래시로 보고 쉽게 따라할 수 있다.
바람개비 배 비행기 연 등 전래놀이에 필요한 놀이기구를 만드는 코너도 마련돼 있다.
만드는 방법을 플래시로 보여줘 손쉽게 따라할 수 있다.
토끼와 호랑이,빨간부채 파란부채 등 전래동화를 읽을 수도 있고 성우의 목소리로 동화를 들을 수도 있다.
한국의 민속놀이(my.netian.com/∼happycyj)는 한가위놀이 정월놀이 등 명절때마다 즐길 수 있는 민속놀이를 찾아볼 수 있다.
◆ 추석 상차림
추석날 상차림은 그 의미와 방법을 알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즘은 예전에 비해 많이 간소화됐지만 이번 추석에는 온 가족이 정성을 모아 함께 차례상을 차려보자.
예빈시(www.yebinsi.co.kr)에서는 차례 및 제사상을 올바르게 차릴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각종 예의 진행순서와 준비,절하는 방법 및 제사와 차례의 차이점 등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 추석 상차림이 여의치 않은 이들을 위해 차례상과 성묘상 메뉴를 마련해 주문을 받아 배달해준다.
가례원(www.garewon.co.kr)은 각종 차례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차례의 올바른 봉행 방법을 설명하고 있어 유용하다.
차례상 주문도 받는다.
쿡쿡(www.cookcook.com)에서는 올바른 상차림과 송편 파전 삼색나물 등 추석음식을 만들 수 있는 요리방법을 소개하고 이와 함께 남은 추석음식으로 만들 수 있는 요리도 다양하게 소개한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