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달러고정 환율제' 곧 폐지 ‥ 위안화 변동폭 확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이 환율변동폭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복수통화 바스켓 시스템 도입을 추진한다.
중국은 현재 위안화 가치를 미 달러당 8.28위안에서 고정하는 '페그제(달러 움직임에 고정시킨 환율제)'를 운용하고 있다.
저우샤오촨 중국 인민은행장은 3일 위안화 평가절상 문제와 관련, "미 달러를 포함한 주요국 통화에 위안화를 연동시키는 '복수통화 바스켓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우 행장은 관영 금융시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점진적으로 변동환율제 도입을 고려하고 있으나 고용시장에 악영향을 주는 갑작스러운 위안화 평가절상은 반대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중국은 결국 시장이 환율을 정하는데 큰 역할을 하도록 할 계획"이라며 "어느 시점에 이르면 위안화 환율 변동폭도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현지 외환전문가들은 중국이 조만간 달러연동 환율제를 폐지한 뒤 완전 변동환율제 실시에 앞서 과도기적으로 바스켓시스템을 도입, 환율 변동폭을 점차 확대해 나가겠다는 뜻을 표명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을 방문 중인 존 스노 미 재무장관도 이날 베이징 주재 미 대사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변동환율제로 움직여간다는 중국의 기본 목표를 재확인했다"며 "이같은 정책 변화는 매우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이를 위해 '중간 조치(interim steps)'를 취할 것이며, 계속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노 장관은 그러나 중국의 새로운 환율 시스템 도입 시점에 대해서는 "타임테이블(계획표)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답변을 회피했다.
베이징=오광진 특파원ㆍ유영석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