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식 경제개혁을 통해 중국 최대 경제도시로 성장한 상하이지만 '자본가(資本家)'라는 단어를 회사 명으로 사용하는 일은 여전히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신문사는 '상하이 자본가 경쟁력 고문회사'라는 이름의 회사 설립을 추진 중인 루위장이 상하이 당국을 상대로 지방법원에 낸 제소가 기각됐다고 7일 보도했다. 난징대에서 법학을 전공한 루위장은 자본가란 단어가 들어간 이름의 회사설립이 상하이 공상행정관리국에 의해 거부당하자 지난 4월 상하이의 위회 법원에 시 당국의 결정을 취소해 달라며 제소했었다. 루위장은 "자본가는 넓은 의미의 기업가로 중국 경제발전 및 사회안정에 기여했다"고 주장했으나 법원은 시 당국의 손을 들어준 것이다. 법원은 "자본가는 정치적인 의미를 담은 단어이기 때문에 대중을 오도할 수 있다"며 기각사유를 밝혔다. 중국 사전에서 '자본가'라는 단어를 찾아보면 '노동자의 잉여가치를 착취하는 자'라고 규정돼 있는 만큼 이를 널리 사용하는 것은 국가와 사회의 이익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중국은 지난해 공산당 제16차 전국대표대회를 통해 '기업인'을 당원으로 받아들일 근거가 되는 3개 대표이론을 즉각 채택하는 등 민영기업을 끌어안기 시작했지만 '자본가'란 단어는 아직도 사용을 꺼리는 분위기다. 상하이=한우덕 특파원 wood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