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의 사망 및 대규모 테러 등 악재 일변도의 이라크발(發) 소식이 지난 여름 미국을 우울하게 한 가운데 이제 미국은 전후 정책을 재고해야 할 때라고 미 일간 뉴욕 타임스가 14일 지적했다. 타임스는 이날 '지속될 수 없는 이라크 정책'이라는 제하의 사설을 통해 조지 W.부시 대통령은 현재까지 미군의 무한정 주둔 없는 이라크 안정화 및 이라크 재건 부담의 분담 등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에 대해 만족스러운 설명을 내놓지 못했다면서 난관에 빠진 이라크 상황 돌파를 위해서는 새로운 사고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사설은 미국은 유럽내 우방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이들은 미국이 일방주의 노선을 포기하지 않는 한 도움을 주지 않을 것이라면서 부시 대통령이 지난 7일 대국민 연설에서 했듯 단순히 돈을 내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경제난으로 신음할 뿐만 아니라 전쟁에 반대했던 이들 나라의 참여를 이끌어 내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사설은 막대한 이라크 재건 비용의 분담을 이끌어낸다는 것은 딕 체니 부통령이 경영하던 핼리버튼 등 미국 회사들의 몫이 적어진다 할지라도 외국 회사들과 재건과정에서의 이익을 나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신문은 또 정부는 안보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켜야 한다면서 미 국방부는 더 이상의 미군 병력이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하지만 현재 이라크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보면 이에 대한 의문을 감출 수 없다고 우려했다. 타임스는 현재 미 육군의 33개 전투 사단 가운데 이라크 주둔 병력이 16개 사단이고, 5개 사단은 기타 외국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나머지 12개 사단은 북한과 관련한 대기 병력이나 이라크 교대 병력으로 필요한 상황이라면서 때문에 미 육군은 베트남전 이래 최초로 연속적 전투지 복무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문은 또 하나의 돌파구는 이라크 자치 정부 수립을 위한 시간표를 가속화 하는 것으로 중동 전문가 및 아랍어에 능통한 정책입안자급 관료가 부족한 미국은 이 과정에서 이라크 최대 종파인 이슬람 시아파의 도움을 받고, 미 주둔군에 주된 위협세력인 소수 수니파도 배제하지 않으며 이란과 시리아 등 이라크 주변국과도 원만히 공조해야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사설은 미 국민은 부시 대통령이 재정적.인적 비용을 겸허히 인정하며 현실적인 계획을 제시할 때에만 이라크에서의 조기 철수론 대신에 이라크를 무법 상태로 버려두지 않기 위한 자신들의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현윤경 기자 ykhyun1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