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통합돼도 코스닥 기능 그대로" .. 허노중 코스닥위원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년에 증시가 통합되더라도 코스닥이 '2부'시장으로 전락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입니다.
오히려 IT(정보기술),벤처 등 성장기업을 지원하는 자금조달 시장으로 차별화가 가속화될 것입니다."
허노중 코스닥위원장은 18일 내년 통합거래소가 출범하면 코스닥시장이 거래소시장의 2부(열등)시장으로 변질될 것이란 증권·벤처업계 일각의 우려를 이같이 일축했다.
허 위원장은 "코스닥 등록요건 등을 중소·벤처기업 특성에 맞게 손질해 거래소시장과의 차별성을 보다 분명하게 해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등록에 필요한 재무요건 등을 거래소 상장 때보다 크게 낮추고 공시제도도 벤처기업 특성에 적합한 형태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등록기업은 물론 개인투자자와 벤처캐피털 등 이용자들도 증시통합으로 불이익을 입는 일은 전혀 없을 것이라고 그는 단언했다.
허 위원장은 정부도 통합 후 이같이 코스닥시장의 특성을 그대로 살려나가는 방향에 대해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고용 등 거시경제 측면에서 점차 중소·벤처기업의 역할이 중요시되는 상황에서 이들의 '텃밭' 역할을 하는 코스닥시장을 거래소의 아류 시장으로 위축시킬 수는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라고 설명했다.
증시통합 후 거래소와 코스닥에 사실상 별도의 의사결정기구를 두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덧붙였다.
코스닥위원회는 등록요건에 대해서는 증시통합 이전이라도 벤처기업 특성에 맞게 적극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예컨대 내년부터 신규 등록기업에 적용되는 자기자본이익률(ROE) 요건을 탄력적으로 적용키로 했다.
허 위원장은 "일반기업 10%,벤처기업 5%로 정해진 ROE 요건을 생명공학(BT) 환경공학(ET) 등의 신기술 기업에는 적용하지 않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바이오 기업의 경우 업종 특성상 막대한 투자가 필요한 만큼 아무리 우수한 기업이라도 등록요건을 맞추기가 어렵다는 설명이다.
그는 "등록요건을 완화하는 대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4개 기술평가기관으로부터 A급의 기술평가를 받아야 등록할 수 있게 보완책을 마련,시행토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허 위원장은 또 "투자자 보호를 위해 시장 건전성을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빠르면 내달부터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실시기업에 대해 배정 대상자가 증자대금을 예치했는지 여부를 사전에 공개토록 할 예정이다.
그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 공시를 해 놓고 며칠 지나면 대금 납입이 안됐다는 번복 공시가 나와 투자자들이 피해를 보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코스닥위원회는 이와 함께 내달부터 등록 추진기업을 직접 방문해 등록을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
허 위원장은 "지난 3년 동안엔 등록하려는 기업이 너무 많아 업체 방문이 불가능했으나 최근 심사가 깐깐해지면서 등록심사 청구기업이 상당히 줄어들었다"며 "내달부터 기업을 직접 방문해 보다 건실한 기업을 가려낼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