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0년 갱신 발급된 주민등록증의 위.변조적발 사례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행정자치부가 국회 행정자치위원회에 제출한 `새주민등록증 위.변조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00년 5월부터 올해 7월까지 모두 317건의 위.변조 사례가 적발됐다. 연도별로는 2000년 36건, 2001년 63건, 2002년 177건, 올해 7월까지 41건 등으로 나타나 새로 발급된 주민등록증도 위.변조 사례가 매년 늘고 있다. 유형별로는 연령변경이 278건(88%)으로 가장 많았고 주민번호와 성명.주소 변경이 22건(7%), 사진변조 15건(4.7%), 성별변경 1건(0.3%)으로 조사됐다. 행자부는 대부분 신용카드 부정발급이나 은행거래 계좌개설, 여권발급, 불법 출입국의 목적과 미성년자 유흥업소 출입 등을 위해 타인의 주민등록증을 위.변조하는 사례가 많다고 밝혔다. 행자부는 최근 고해상도의 스캐너와 복사기술 등의 발달로 위조가 고도화돼 육안으로는 위.변조 진위 확인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행자부는 이를 위해 최신 광학기술을 활용한 진위 확인용 `주민등록증 위.변조식별시스템'을 개발해 내년 2월 전국에 보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98년부터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을 위해 전화 1382 ARS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인터넷(www.egov.go.kr)에 접속해서도 연중 무휴로 확인할 수 있다고 행자부는 설명했다. 행자부는 "인쇄 및 디자인 기술 발달과 함께 각 기관에서 주민등록증의 진위확인을 소홀히 해 위.변조된 주민등록증의 유통이 이어지고 있고 출입국 심사와 여권발급시 사진 대조도 잘 하지 않는 등 문제점이 있다"며 "위변조 식별시스템 개발 등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중"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you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