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감사원장 인사청문특위(위원장 김정숙.金貞淑)는 24일 윤성식(尹聖植) 감사원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실시, 감사원 개혁 및 독립성 확보문제, 업무수행 능력 및 도덕성을 집중 검증했다. 국회는 25일까지 이틀간 청문회를 실시한 뒤 26일 본회의에서 윤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처리할 예정이며, 윤 후보자는 동의안이 가결되면 이종남(李種南) 원장의 뒤를 이어 임기 4년의 감사원장직을 수행한다. 정국이 `신4당체제'로 재편된 가운데 윤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이 통과될지여부가 주목된다. 윤 후보자는 감사원 개혁과 관련, "적발위주의 감사와 중복감사 등으로 공직자의 무사안일을 조장하고 적극적 업무수행에 지장을 주는 측면이 있고, 현대행정이전문화되고 성과와 목표달성이 중요해지고 있는데 반해 규정과 절차적 통제에 중점을 둔 감사에 치중함으로써 행정의 변화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었다"며 "정부정책과 사업을 거시적이고 객관적 관점에서 평가해 개선대안을 제시하는감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윤 후보자는 이어 "감사기능을 민간에 위임하거나 개방형 임용제로 책임자를 채용하는 방안도 생각해보겠다"고 말했다. 감사원의 검찰 등에 대한 직무감찰 예외 논란과 관련, 윤 후보자는 "검찰의 기소행위에 대해 직무감찰하는 것은 수사의 독립성을 훼손하기 때문에 예외를 둬야 하지만 그외에 대해선 법에 따라 직무감찰을 해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회계검사 국회이관 문제에 대해 윤 후보자는 "감사원의 소속문제는 헌법개정사항으로 개헌을 전제로 찬성한다"며 "국회의 감사청구, 국회에 대한 감사결과 공개.보고 확대, 국회 인력파견 등을 통해 국회지원을 활성화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무작위 표본감사'에 대해 "예를들면 100개기관에 대해 1년에 10개기관씩10년에 걸쳐서 감사를 하면 9년간은 (감사를 안받기 때문에) 안심한다"며 "그러나무작위로 추출해 감사를 하면 매년 감사를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모두 긴장한다"며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청문회에선 한나라당과 민주당, 통합신당이 당초 특위위원 13명중 통합신당 소속 의원이 배정되지 않은데 대해 논란을 벌인 끝에 오후 속개된 청문회에서 민주당 설 훈(薛 勳) 박상희(朴相熙) 의원이 사임하고, 통합신당 김태홍(金泰弘)김영춘(金榮春) 의원이 보임됐다. (서울=연합뉴스) 전승현기자 shch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