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국정감사단 구주.중동반(반장 이창복.李昌馥)은 25일 러시아 주재 대사관(대사 정태익.鄭泰翼)에 대한 감사에서 북한 핵 문제와 경협 차관 상환, 에너지 협력 방안 등에 질문을 집중하며 효율적 외교 활동을 촉구했다. 유재건(柳在乾.통합신당) 의원은 "북핵 사태 해결을 위한 `6자 회담'이 지난달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시작됐다"면서 "국익을 위해 대사관에 전담 `태스크 포스'를 설치해 협상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아이디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김용갑(金容甲.한나라) 의원은 "우리 정부는 당초 8년이던 대(對) 러시아 경협차관 상환 일정을 23년으로 늘려주기로 최종 합의했다"면서 "이자를 깎아주고 상환일정도 이렇게 늦춘 것은 지나친 양보 아니냐"고 따졌다. 유흥수(柳興洙.한나라) 의원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한반도 주변 4강 가운데 러시아를 가장 늦게 방문할 예정인데 이에 대한 러측의 서운함은 없느냐"면서 "정치.경제적으로 중요한 러시아와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승수(韓昇洙.한나라) 의원은 "최근의 한반도 주변 상황이 19C 말과 흡사하다"면서 "주변 상황에 눈이 어두워 국권을 빼앗겼던 아픈 전철을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서는 러시아를 적극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종하(金鍾河.한나라) 의원은 "러시아와의 교류에서는 경제 및 과학.기술 분야협력이 특히 중요하다"면서 "여러 사업이 다 중요하겠지만 실현 가능한 것부터 우선순위를 정해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마지막 질의에 나선 감사반장 이 의원(통합신당)은 "한-러 교역 규모는 지난해 현재 32억달러로 우리가 12억달러 가량의 역조를 감수하고 있다"면서 "대러 수출 유망 품목을 개발해 무역 역조 현상을 개선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의원들은 이밖에 ▲한반도종단철도(TKR)-시베리아횡단철도(TSR) 연결 사업 ▲재외 동포법 개정 문제 ▲독립 유공자 선양 및 고려인 지원 사업 ▲시베리아 가스전개발 ▲대사관 신축 공사 예산 책정상 문제점 등을 캐물으며 효율적 대처 방안 마련을 요구했다. 정 대사는 답변에서 "러시아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한반도에 매우 중요한 이웃"이라며 "북핵 사태의 평화적 해결과 경제.에너지 분야 협력, 과학.기술 협력 확대 등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유 의원은 질의 과정에서 주(駐) 프랑스 대사관이 교민들의 외국 생활을 돕기 위해 펴낸 `생활 법률 상식'책을 대사관측에 건네며 수범 사례로 삼을 것을 주문해 눈길을 끌었다. (모스크바=연합뉴스) 이봉준 특파원 joon@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