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관(尹永寬) 외교통상부 장관은 25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북한의 안보우려가 핵 문제와 함께 차기 6자회담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되기를 강하게 희망한다"고 밝혔다. 윤 장관의 이같은 언급은 차기 6자회담의 성사와 성과 도출을 위해서는 미국이대북제안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요청으로 해석될 수 있어 주목된다. 윤 장관은 지난 4일 워싱턴을 방문,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과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과 만난 뒤 한국 특파원과의 간담회에서 "미국이 좀 더 분명하고 세부적인 안을 만들어 오면 큰 도움이 된다는 생각을 전했고 한.미 양측이 그런 방향으로 나가자는 데 의견일치를 봤다"고 말했었다. 윤 장관은 또 이날 기조연설에서 "베이징 1차 6자회담에서 모든 참여국들이 북한의 안보우려를 다룰 필요성이 있다고 인정했음을 주목하면서 우리는 북한이 현명하고 넓은 안목에서 결단을 내리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윤 장관은 "6자회담의 향후 과제는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하고 합의된 원칙을 어떻게 구체화하느냐 하는 것"이라며 "이견해소 과정에서 예상되는 어려움을 극복하려면 협력의 정신이 필요하며 상황악화를 초래할 행동을 삼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6자회담의 성공은 단순히 북핵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한반도에 항구적 평화를 정착시키는 과정으로 이어져야 한다"며 "유럽에서와 같이 남북한간에도 경제적 상호의존이 정치적 갈등을 해소시킬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2차 세계대전까지 한세기동안 세번의 전쟁을 통해 반목과 분쟁의 경험을 갖고 있는 독일과 프랑스가 유럽석탄철강공동체, 구주연합이란 경제적 상호의존 네트워크를 통해 평화와 공동번영을 한 사례가 있다"고 설명했다. 윤 장관은 군축.비확산 문제와 관련, "핵확산금지조약(NPT)의 보편성 확보와 함께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보편적 이행을 통한 안전체제 강화가 중요하며 현 체제의 맹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며 "NPT 강화.보완에 대한 안보이해를 공유하는 국가들이 양자.다자.지역적 접근방식을 추진하는 것이 긴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 장관은 이라크 재건 지원에 대해 "이라크의 정치적 변화가 진정한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이라크 국민이 폭넓은 지지를 받는 민주정부하에서 사회.경제적 혜택을누려야 한다"며 "한국은 이를 위해 이라크 회복과 재건과정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뉴욕=연합뉴스) 추승호기자 ch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