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운영위의 26일 중앙인사위, 중소기업특위, 국회사무처 및 도서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현정권의 코드인사, 개방형임용제 및 이공계 기피현상 등이 논란이 됐다. 한나라당 정의화(鄭義和) 의원은 "개방형직위제가 효과적이기 위해선 외부 전문가의 유입이 활발해야 하는데 현재 외부전문가 임용비율이 28.3%로 제도정착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상태"라면서 "공사부문간의 인력교류가 제한적인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비탄력적 구조와 낮은 보수수준, 계약만료후의 신분불안 및 홍보부족이 해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정갑윤(鄭甲潤) 의원은 "현재 장관보좌관제를 통해 임용된 15명의 인사가운데 인수위, 대선캠프, 구 민주당 출신 등 `코드인사'가 최소한 11명에 이른다"면서 "당초 취지인 '책임행정'과 '민간참여'는 찾아볼 수 없고 위인설관식 정실인사나 장관감시용으로 전락했다"고 따졌다. 민주당 정범구(鄭範九) 의원은 "중앙인사위는 개방직 임용을 28.6%라고 주장하나 타부처 이동 공무원을 빼면 실질적으로 18%"라면서 "특히 문광부의 경우 단 한명의 외부충원도 없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통합신당 김근태(金槿泰) 의원은 "현재 3급이상 기술직 공무원이 전체 공무원의 17.2%에 불과하다"면서 "낮은 보상소득, 사회적 지위 약화, 열악한 연구환경에 대한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중배기자 jb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