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고위관계자들이 감사원장 인준안의 부결에 대해 "꿈에도 생각못했다"는 등 한결같이 예상외의 결과라는 반응을 보이는 데 대해 '정말 몰랐느냐' 아니면 `부결의 부당성을 강조하기 위한 수사냐'의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문희상(文喜相) 비서실장은 26일 "대통령이 직접 협조를 구하고, 나도 처음으로 각 당 대표에게 일일이 전화를 드렸으며, 정무수석이 원내총무들에게 전화를 걸었다"고 청와대측 `노력'을 소개하며 "부결될 줄 꿈에도 생각못했다"고 말했다. 다른 고위관계자도 "부적격성, 도덕적 하자가 크게 문제될 게 없었기 때문에 이같은 결과가 나올지 미처 예상하지 못했다"고 말했고, 윤태영(尹太瀛) 대변인은 표결 직전 "조심스럽게 낙관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었다. 이들의 말대로라면 청와대는 통과를 낙관했다는 것이어서, 정무팀을 중심으로 한 청와대 관련 부서의 정치상황 인식과 촉각 기능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은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선 청와대 관계자들의 `엄살'은 "거야의 횡포를 부각시키기 위한 레토릭(수사)" "처절하게 발목잡히는 모습을 보여 여론의 역풍을 유도하려는 의도" 등의 주장도 제기된다. 신 4당체제 재편과 `미니 여당'이라는 새로운 정치상황을 맞아 청와대 입장에선 `거야의 횡포'를 부각시킴으로써 여론의 응원 및 대국회 압박을 기대한 것 아니냐는것이다. 그러나 정무팀 핵심관계자가 전날 "가결 가능성도, 부결 가능성도 있다"고 말한 것이나,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직접 나서 브리핑을 통해 국회 협력을 호소한 등의 정황으로 미뤄 이후 상황을 너무 낙관적으로 본 것이 아니냐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기자 marx0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