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현(丁世鉉) 통일부 장관은 1일 "한국의이라크 파병 결정은 빨리해야 할 것"이라며 국익과 국민여론, 현지조사 결과, 유엔결의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을 방문중인 정 장관은 이날 워싱턴 특파원단과 가진 간담회에서 "한국의이라크 파병과 6자회담 재개 문제는 별도 사안으로 생각한다"며 "한국이 파병등과관련, 군사경계조치를 취하지 않는한 북한측이 파병자체에 시비를 걸 것으로 생각지않는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한국군 이라크 파병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한미관계와 안보"로북한 반응은 부차적 문제일 뿐이라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일원으로서 정부가 파병 여부를 공식 결정하기 전에 파병문제에 관해 더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덧붙였다. 또 정 장관은 베이징 후속 6자회담 재개시기에 대해 "10월말이나 11월초에 열릴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10월 하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북한의 당 창건기념일, 중국 일정 등 6자회담 참여국의 이달 일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데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북한을 겨냥한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 구상(PSI)'이 대북압력수단으로 유효하고 강력한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오히려 북한의 반발이 더 강해질 것"이라며 "북한은 워낙 어려운 상황에 익숙해 견뎌낼 것"이라고 답변했다. 정 장관은 "북한은 식량난이나 경제난으로 자체 붕괴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의 갑작스런 붕괴는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나 현실적으로 그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북한의 붕괴 가능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대한민국의 헌정질서가 곧바로 북한에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중국 등 주변국들의 간섭이 들어올 것이고 아마도 4국회의 개최문제가 제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정 장관은 "경제제재를 포함한 대북 제재는 중국이 적극 협조하지 않는 한큰 의미가 없다"며 북핵 문제 해결과 남북교류협력을 병행 추진해야 한다는 게 통일부의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연합뉴스) 김성수 특파원 ss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