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이 중국에 콜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라는 소식은 대단히 충격적이다.
제조업체들이 줄줄이 해외로 떠나고 있는 마당에 서비스업종마저 한국을 빠져나가겠다니 더욱 심화될 실업대란에 대한 우려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문제의 심각성은 기업측을 비난하기도 어렵다는데 있다.
국민은행이 콜센터를 중국에 설립하려는 것은 한국에서 1명을 고용하는 비용으로 10명을 고용할 만큼 인건비가 저렴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수많은 제조업체들이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고 있는 것과 똑같은 이유다.
글로벌경제체제에서 산업구조조정은 불가피한 측면이 없지 않고 금융업도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경영 효율화를 꾀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점은 솔직히 인정한다. 하지만 우리는 은행 콜센터만큼은 한국을 떠나지 말았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제조업체의 고용확충능력이 한계에 가까워진 만큼 서비스업에서라도 이를 커버해줘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금융회사의 경우 다른 업종보다 공익성이 더 강하다는 점도 인식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렇지 않아도 경제는 최악인데다 고용난도 보통 심각한 상황이 아니다.
엊그제만 해도 KT가 명예퇴직이란 형태로 5천여명을 감원시켰다.
40∼50대는 물론 30대 근로자들도 다수 포함됐다.
그런가 하면 두산중공업은 관리직뿐 아니라 생산직 사원 1천여명에 대해서도 명예퇴직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했다.
기업들이 신입사원을 뽑기는커녕 있는 직원마저 잘라내기에 급급하다는 이야기다. 사오정(45세 정년) 오륙도(56세까지 근무하면 도둑)란 말이 일부층의 이야기가 아니라 이제 일반적 현상으로 변해가고 있는 셈이다.
갈수록 늘고 있는 청년실업자 문제도 예삿일이 아니다.
그런데도 노동부가 4천여개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기업들의 77%는 4분기에 채용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이러다가는 머잖아 이 땅이 온통 실업자로 뒤덮일 판이다.
실업대란을 피하기 위해서는 말할 것도 없이 경제를 살리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때문에 정부는 기업 투자를 부추기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기업투자확대를 통한 일자리 만들기가 최선의 실업대책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대기업 노조를 비롯한 노동계도 반성할 필요가 있다.
무리한 임금인상 요구와 철밥통 지키기가 대규모 명예퇴직을 부르고 실업난을 가중시킨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고용과 임금에 관한 한 보다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더 많은 근로자들의 이익을 지키는 길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