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부동산 추가대책을 조만간 발표할 것으로알려지면서 강남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매물은 기존 가격대로 계속 나오고 있으나 매수세가 없어 거래가 전혀 이뤄지지않고 있다. 9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9.5 재건축대책' 이후 한동안 진정세를 보이던 집값이 최근 다시 급등세로 돌아서면서 정부가 돈줄을 죄고 세금을 늘리는 방향으로 추가대책을 검토하자 부동산거래가 사실상 `올스톱' 상태에 들어갔다. 부동산경기가 위축되서라기 보다는 수요자들이 정부의 추가대책을 지켜본 뒤 매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매물은 가격이 하락한 급매물 성격이 아니라 기존 가격의 정상매물이 시장에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31평형은 7억∼7억4천만원, 34평형은 8억2천만∼8억5천만원 선에 매물이 나오고 있다. 대치동 G공인은 "정부의 추가대책 검토 영향으로 약 2주전부터 거래가 사실상실종됐다"면서 "매물은 꾸준히 나오고 있지만 매수하려는 사람이 없어 거래자체가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인근의 N공인도 "당분간은 거래가 이뤄지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면서 "지금으로서는 향후의 부동산시장을 전망하기가 어려우며 일단 앞으로 나올 정부의 추가대책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 중개업자는 "부동산 시장이 추가대책 발표를 앞두고 전형적인 숨고르기 단계에 들어갔다"면서 "만약 향후 발표될 추가대책이 근본적인 처방이 되지 못할 경우에는 집값이 오히려 더욱 큰폭으로 오를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정부가 추가대책으로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진 ▲주택담보대출한도 축소 ▲강남 아파트 융자 최소화 ▲재산세 인상 등에 대해 업계에서는 "어느정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근본대책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을 제기했다. 내집마련정보사의 김영진 사장은 "강남 아파트 구입과 관련한 융자를 최소화하는 등 돈줄을 죄면 분명히 타격은 있다"면서 "그러나 강남의 부자들은 대출을 받아집을 사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투기세력 보다는 실수요자들이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또 "제1금융권과 함께 상호신용금고 등 제2금융권에 대한 대출조건도 강화해야 어느정도나마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면서 "궁극적으로 집값을 잡기 위해서는 공교육확립, 내신성적 강화 등 교육제도 차원의 접근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RE멤버스 고종완 대표도 "강남의 경우 여유자금으로 아파트를 구입하는 비율이50%를 넘기 때문에 돈줄을 죄는 것 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대출축소와 함께 금리, 분양가, 공급확대 등의 정책이 병행돼야만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심인성기자 sims@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