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부동산 보유세 강화 방침에 따라 서울시가 부과한 올 정기분 종합토지세가 작년보다 크게 증가했다. 이에 대해 시민들은 경기 침체로 가뜩이나 형편이 좋지 않은데 세금마저 크게 올라 부담이라며 종토세 중과에 반발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내 토지 소유자 2백27만명에게 금년도 정기분 종합토지세 총 5천4백47억원을 각 자치구별로 부과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4천7백71억원)보다 14.2% 늘어난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정부의 부동산 보유세 강화방침에 따라 개별공시지가의 32.3%이던 과표적용비율을 35.2%로 상향조정한데다 개별공시지가 인상분(4.23%)도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자치구별로는 강남구가 9백42억원으로 최고를 차지했다. 이어 중구(5백64억원), 서초구(5백8억원), 송파구(4백12억원) 등의 순이었다. 반면 도봉구는 75억원으로 가장 적었으며 이어 금천구(86억원), 중랑구(90억원), 강북구(99억원) 순이었다. 종토세 과세대상 토지 중 전국에서 가장 공시지가가 높은 땅은 중구 명동2가 33의 2 우리은행 명동지점으로 ㎡당 3천3백30만원이며, 주거지역 가운데 가장 비싼 토지는 강남구 도곡동 164의 1 포스코트 아파트로 ㎡당 3백15만원이었다. 서초구 서초동 S아파트에 사는 민모씨(62)는 "부동산 투기대책으로 세금을 올리려는 것은 이해하지만 겨우 집 한채를 갖고 15년 가까이 살아온 사람한테 이처럼 세금을 중과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며 "임금 등 수입은 계속 제자리인데 물가와 세금은 매년 뛰어올라 이민이라도 가야할 판"이라고 말했다. 임상택 기자 lim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