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13일 재신임을 묻기 위한 국민투표 논란과 관련, "(헌법상) 국가안위에 대한 개념을 보다 폭넓게 해석한다면 가능할 것"이라며 "정책과 결부시키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지만 그렇게 안하는게좋겠고, 어떤 조건도 붙이지 않겠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이날 오전 `2004년도 예산안 제출에 즈음한 시정연설'에서 원고에 없는 즉석 연설을 통해 "있는 그대로 정책과 결부하지 않고 재신임을 묻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다"면서 "다만 혹시 정치권과 국민 사이에서 정책과 결부시키는 국민투표요구가 있으면 별개로 묶어 진행해도 좋겠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또 "과거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중간평가, 재신임을 요구한 바 있고즉시 재신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 만큼 쉽게 합의가 이뤄지리라 본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또 "제가 재신임을 묻겠다고 밝힌데 대해 여러 추측과 평가들이 나오고 있지만 정말 무모하고 쉽게 결론 내린게 아니다"면서 "'아세안+3' 정상회의 참석차 인도네시아 발리에 있으면서 최도술 사건에 대한 보도를 봤을때 눈앞이 캄캄했고 미리 알고는 있었지만 그 허물이 드러나는 것은 또다른 충격이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어 "당장 한국에 돌아가는데 국민을 어떻게 볼까. 국정연설이 예정돼 있는데 그 준비했던 많은 말들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또 국무회의를 주재, 옳은 소리 바른 소리를 해야 하는데 무슨 낯으로 할 수 있을지 참으로 참담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노 대통령은 "안희정, 노건평, 이기명씨가 연관된 장수천 문제는 감당하기 힘든 공세에 시달렸지만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에 감당할 수 있었다"며 "하지만 이번 최도술씨 문제의 경우 끊임없는 논란과 보도가 이어져 국정혼란을 넘어 국정마비로 가고 앞으로 4년동안 아무리 발버둥쳐도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 결단을 내렸다"고 재신임 제안 배경을 설명했다. 최도술씨 수사와 관련, 노 대통령은 "수사결과 사실이 밝혀질 것이나 그 때까지 도저히 감당할 수 없었다"면서 "저의 임기를 채우지 못하는 불행이 있더라도 우리 정치를 바꾸는 조그마한 계기가 될 수 있다면 그나마 제 할 몫을 하는 일이라고 생 각했고, 그래서 제 (대통령)직을 걸고 정치개혁을 할 수 있는 기회로 살려보고자 했다"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끝으로 "재신임을 묻겠다는 저의 결단에 대한 잘못과 허물이 중요한게 아니라 이같은 자성의 결단을 계기로 우리 정치가 한단계 발전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게 중요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 기자 cb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