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신당은 13일 오전 운영위원회의 도중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12월15일 재신임 국민투표' 제안 소식에 "적극 뒷받침한다"고 지지를 천명했다. 김원기(金元基) 창당주비위원장은 회의 직후 "대통령이 재신임 문제 등장으로 국정이 불안정해진 상태를 빨리 종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옳다고 생각한다"면서 "불신임시 대통령 선거의 총선 병행 실시 판단에도 동의한다"고 밝혔다. 김한길 전략기획단장은 "대통령께서 혼란 기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나라당과 민주당 제안을 전폭 수용한 것에 공감한다"고 말했고, 김정길(金正吉) 전 행자부 장관도 "하루빨리 정국을 안정시키고 혼란을 막아야한다는 대통령의 충정에 전폭 지지를 보낸다"고 밝혔다. 그러나 노 대통령의 이날 제안 내용은 김원기 위원장 외에는 사전 극비에 부쳐져 신당은 또한번 충격에 휩싸였다. 김 위원장은 회의 도중 노 대통령의 시정연설문 관련 메모를 전달받고 "나는 (연설내용을) 알고 있었다"면서 회의 주제를 `창당 준비'에서 `재신임 투표'로 바꿔 당론을 조율했다. 회의장은 한동안 크게 술렁이면서 국민투표 방식 자체가 적절한지 여부에서부터 논란을 벌였으나 이미 되돌릴 수 없는 사안이라는 점과 "대통령의 결단을 전폭 지지하자"는 김 위원장의 종용에 `조건없는 지지'로 가닥을 잡았다. 정동채(鄭東采) 홍보기획단장은 "대통령이 대통령직을 걸고서라도 도덕적 재무장을 통해 낡은 정치, 썩은 정치를 타파하고 국정을 쇄신하려는 것에 대해 이견이 있을 수 없다"고 발표했다. 다만 국민투표 방식에 대해 일각에선 여전히 이견이 제기되고 있어 노 대통령의 시정연설 후 의원총회를 열어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치기로 했다. 이해찬(李海瓚) 창당기획단장은 "(투표방식에 대해선) 아무런 규정이 없기 때문에 여야 협의가 돼야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고, 송석찬(宋錫贊) 의원은 "이라크 파병 등 어려운 국정 현안을 재신임과 함께 물어야 한다"고 `재신임 투표와 정책연계' 방안에 미련을 보였다. 특히 한 중진 의원은 "재신임이 총선 승리로 연결될 것으로 보느냐"며 조기 국민투표 제안에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통령이 재신임 투표에서 재신임될 경우 그 여세가 신당의 총선에 유리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지만, 반대로 유권자들이 일종의 대통령 선거로 인식해 총선에선 통합신당을 견제하는 투표를 할 수도 있다는 우려인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현기자 ja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