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잇따른 부동산대책으로 부동산경기가 크게 위축될 조짐을 보이면서 건설업체들이 고민에 빠졌다. 부동산경기가 침체되면 공사물량이 크게 줄어 수익성이 악화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토지공개념 도입 방안까지 거론되면서 땅을 직접 사서 사업을 하는이른바 `자체사업' 비중이 높은 중견 건설업체들의 경우 자체사업 비중축소 등 다양한 대응책을 모색중이나 아직까지 이렇다할 해결책을 마련하지는 못하고 있다. 1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9.5 재건축대책'에 이어 조만간 융자축소, 재산세 강화 등을 골자로 한 정부의 부동산종합대책이 나오면 부동산시장은 또 한차례 술렁일전망이다. 부동산종합대책 발표를 앞두고 지금도 거래가 `올스톱'되는 등 부동산시장이 경색국면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만약 토지공개념 도입이 기정사실화될 경우 부동산시장은 더욱 큰 충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부동산시장 전망이 불투명해지면서 건설업체들의 발걸음이 바빠졌다. 충남 천안과 경기도 용인 등 지방에서 자체사업을 하다 최근 서울시장에 입성한중견업체 동일토건은 "정부가 쏟아내고 있는 각종 대책과 관련해 수시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있다"면서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는 자체사업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될수 밖에 없기 때문에 향후의 사업방향을 놓고 딜레마에 빠져 있다"고 밝혔다. 동일토건은 "사업구조를 지금처럼 계속 유지해 나갈지 아니면 현금위주의 경영으로 전환할 것인지 등에 대해서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면서 "기존 아파트 분양시장과 함께 상업시설, 고급빌라, 고급펜션 등 새로운 사업 진출에 대한 검토가 불가피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자체사업 비중이 높은 편인 월드건설도 "정부의 이번 대책과 관계없이 이미 몇년 전부터 자체사업 비중을 축소하기 시작해 자체사업과 수주의 비중이 과거 8대 2에서 지금은 6대 4 정도"라면서 "앞으로 이 비율을 5대 5 정도로 조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월드건설은 앞으로 수익성 보전을 위해 주택사업과 함께 토목 및 건축사업에도본격적으로 뛰어든다는 방침이다. 자체사업보다는 수주공사에 치중하고 있는 대형 건설업체들도 고민은 마찬가지로 각종 규제로 서울지역 재건축 사업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자 상대적으로 규제가덜한 지방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등 나름대로 살길을 모색하고 있다. 삼성물산 주택부문은 "정부의 계속된 규제로 건설.부동산시장이 지나치게 위축되지나 않을까 걱정된다"면서 "이미 지방시장을 공략하고 나선 대형 건설업체들의경우 앞으로 또 다른 대안을 찾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는 "토지공개념 등 정부의 각종 부동산대책으로 부동산시장 뿐만 아니라 건설업체들도 큰 충격을 받고 있다"면서 "건설업체들은 이제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등 사업구조를 본격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심인성기자 sims@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