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14일 최병렬(崔秉烈) 대표의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재신임 국민투표 가결시 의원직 총사퇴를 포함시키려 했다가 의원들의 의견이 엇갈려 이를 제외하는 등 지도력 부재로 인한 혼선을 빚었다. 대표연설에 앞서 개최된 상임운영위원회에서 최 대표는 재신임 국민투표는 현정권의 도덕성과 대통령 측근비리를 심판하는 것이 돼야 한다며 성격을 규정하고, 최도술씨 비리의혹에 대한 철저한 규명후 재신임 국민투표 실시 방침을 분명히 했다. 이어 최 대표는 재신임 국민투표에 응하는 당의 결연한 의지를 보이는 방안으로 "노 대통령 재신임 가결시 이를 한나라당에 대한 불신임으로 간주할 것"이라며 ▲자신의 정계은퇴 ▲한나라당의 의원직 총사퇴를 연설문에 포함시킬 것을 긴급 제안했다. 이에 상임운영위원들은 "의원직 총사퇴 부분은 의원들의 의견을 물어야 한다"고 제안했고,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본회의 직전 긴급 의원총회를 소집했다. 비공개 의총에서 최 대표는 "국민투표를 강행해서 12월15일이든 아니든 노 대통령에 대한 재신임이 이뤄지면 내년 총선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은 심대한 타격을 입을것이 분명하다"며 자신의 정계은퇴와 의원직 총사퇴 제의배경을 설명했다고 박진(朴振) 대변인은 전했다. 최 대표의 이같은 제의는 한나라당 지지세력을 결집시켜 재신임 국민투표 정국을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로 일단 분석됐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정권 도덕성과 측근 비리를 심판하는 재신임 국민투표로 성격을 분명히 하고 이를 관철시키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보임으로써 재신임 국민투표를 무산시키려는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하지만 최 대표의 제안에 대해 의원들은 "당연한 조치"라는 주장과, "쇼로 비쳐질 수 있다"는 반대 의견이 팽팽히 맞서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다. 결국 최 대표는 대표연설에서는 일단 의원직 총사퇴를 포함시키지 않기로 하고 본회의장으로 향해 지도력 부재와 정국 대응전략 부족를 드러냈다. 대신 의원들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최도술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 비리 의혹에 연루돼 있다면 `탄핵대상'이라는 점을 명시, 국민투표보다 탄핵추진에 무게를 두며 대(對)청와대 공세를 높여야 한다고 입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최 대표도 의총에서 "사법기관이 제대로 숨쉬는 나라라면 이번 문제는 국민투표보다 탄핵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말해 내심 국민투표보다는 탄핵추진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음을 내비쳤다. (서울=연합뉴스) 김병수 기자 bings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