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5일자) 대학 취업률 정보공개 필요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노동부가 대학 졸업자의 취업현황과 직장이동 경로를 확인,대학 및 학과별 취업률과 급여 등 취업수준을 파악해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모양이다.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청년실업 대책의 하나로 나왔지만 교육시장과 노동시장을 연결하는 기본적인 정보인프라라는 측면에서 생각하면 진작 이뤄졌어야 할 일이다.
이렇게 되면 우선 수험생들은 대학을 선택할 때 유용한 판단자료로 쓸 수 있을 것이 분명하다.
사실 대학 졸업 후 취업을 생각하는 학생들에게는 이보다 더 긴요한 정보도 없다.
취업률 정보 공개의 의미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시장에서 신뢰를 받을 정도의 조사가 이뤄지기만 한다면 청년실업의 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산업수요를 못따라가는 대학교육의 변화를 유도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일각에선 대학의 서열화를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는 모양이지만 이것이야말로 대학 스스로 경쟁력 차원에서 적극 수용해야 마땅하다고 본다.
무엇보다도 이런 정보는 국가 인력 및 교육정책의 기본이라는 의미도 있다.
선진국에선 인력수급의 양적ㆍ질적 불균형이 왜 일어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졸업 후 일종의 추적조사(follow-up survey)라는 것이 이미 제도화돼 있다.
교육정보 취업정보 직업이동정보 등 각종 유용한 정보를 담은 조사결과는 직업전망과 향후 유망직업 선정 등에 활용됨으로써 교육시장과 노동시장을 연결하는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우리의 경우 인력 및 교육정책이 시장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것은 이런 기본적 정보인프라가 부실한 탓도 크다.
이번 기회에 취업률 정보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추적조사를 제도화하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