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경제중심 국가로 거듭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을 인천 부산 광양 등 3곳 외에 다른 지역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동북아경제중심 건설을 위한 잠재역량과 전략'을 주제로 14일 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공동 세미나에서 도널드 존스톤 OECD 사무총장은 "물류 금융 등 인프라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준이지만 국제적 비즈니스 중심지로 발전하기 위해선 외국기업이 경영활동을 영위하기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존스톤 사무총장은 "경제자유구역 확대가 균형적인 지역개발은 물론 거대도시인 서울에 대한 경제집중 문제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한국은 노동의 유연성, 정부정책의 투명성과 일관성, 정부규제와 조세체계 측면에서 매우 취약하다"며 외국기업 유치를 위한 제도정비를 주문했다. 정태인 동북아 경제중심추진위원회 기획조정실장은 "한국이 동북아의 공동 번영과 평화기조 구축에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외국기업들의 투자유도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더크 필랫 OECD 과학기술산업국 선임연구원은 "산업간 비교우위에 대한 신중한 검토를 통해 동북아 3국간의 긴밀한 분업체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인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FTA연구팀장은 "한ㆍ중ㆍ일 3국은 전세계 GDP(국내총생산) 및 교역에서 17%를 차지하고 있다"며 "3국간의 FTA 체결을 통한 단일 경제블록 형성을 통해 지역경제 규모를 더욱 키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