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드라이버샷이 페어웨이 복판에 멈추었다. 짧은 파5홀이라면 페어웨이우드샷으로 2온이 될 것 같고,핸디캡1의 긴 파4홀이라면 역시 우드로 레귤러온시킬 수 있을 것 같은 상황이다. 그러나 이 샷도 쉽지만은 않다. 클럽은 긴데다 볼은 티업되지 않은 상태라 실수가 많이 나온다. 그중에서도 클럽헤드가 볼 윗부분을 쳐 '토핑'이 되는 일이 잦다. 그러면 거리 손해를 보는 것은 물론 심리적으로도 위축되게 마련이다. ◆전략 미국 티칭프로인 게리 위렌은 "페어웨이우드샷이 토핑되는 가장 큰 이유는 임팩트 순간 체중이 오른발(오른손잡이의 경우)에 남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우드샷은 볼을 띄워야 하고 그러려면 임팩트 후 오른무릎이 가세하면서 체중이 왼쪽으로 가야 한다. 그런데 체중이 뒤쪽에 머물러 있게 되면 쳐올리는(스쿠프) 동작이 돼 토핑을 낳는다는 것이다. 그는 우드샷 토핑이 잦은 골퍼들에게 '웨지 우드'를 생각하라고 권유한다. 우드를 웨지샷처럼 처리하라는 말이다. 일단 우드중에서 로프트가 가장 큰 것을 뽑는다. 그런 뒤 피칭웨지샷을 할때처럼 어드레스한다. 스탠스를 좁히고 볼은 스탠스 중간보다 뒤쪽에 놓는다. 그러면 양손이 볼보다 앞쪽에 오면서 샤프트는 목표쪽으로 기운 형태가 된다. 이때 그립을 평상시보다 2∼3인치(약 5∼8㎝) 내려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자세를 취하면 볼을 일부러 쳐올리려는 동작이 나오기 힘들다. 체중도 몸 중심에 머무르며 곧 목표쪽으로 이동할 준비상태가 된다. 무엇보다 스윙궤도가 가팔라지면서 헤드가 볼을 낚아채는 듯한 임팩트를 할 수 있다. 이같은 '웨지 우드'샷에 어느정도 익숙해지면 스탠스를 점점 넓히고 볼도 앞쪽으로 이동시켜 정상적인 우드샷으로 이행하면 된다. ◆멘탈 포커스 아놀드 파머는 "우드샷 실수는 대부분 정신적인 원인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로프트가 더 작은 클럽으로 '몇 야드' 더 보내려다가 무리를 자초한다는 것이다. 그런 골퍼들은 짧은 우드를 잡고 그립도 짧게 잡으며 컨트롤된 짧은 스윙이 필요하다. 김경수 기자 ksm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