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원료로 쓰이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의 국내 최대 생산업체인 대한유화 노동조합(위원장 김민식)이 16일 창사 33년만에 처음으로 파업에 돌입했다. 이번 파업은 국내 3위의 HDPE 생산업체인 호남석유화학이 대형 폭발사고로 공장가동을 중단한 상태에서 빚어져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심각한 수급차질을 불러올 전망이다. 대한유화 노조는 임단협 결렬을 이유로 이날 오전 7시부터 울산과 온산공장에서 전면파업에 돌입했다. 노조는 기본급 12% 인상과 주 40시간 근무제 등을 요구하고 있으나 사측은 기본급 6%와 성과급 1백%를 고수,협상이 결렬됐다. 사측은 노조의 파업에도 불구하고 협정근로자와 비조합원들로 공장 비상가동에 나서 평소의 70% 가량의 가동률을 보이고 있으며 제품출하도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노조의 요구를 들어줄 경우 회사의 부담이 연간 66억원으로 올해 경영흑자분을 초과한다"면서 "빨리 공장이 정상가동되지 않으면 부도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노조측은 "그동안 외환위기와 법정관리를 겪으면서 1천4백여명이던 직원수가 7백70명으로 줄어드는 구조조정 과정을 노조원들이 참고 받아들였다"면서 "회사가 지난해부터 흑자를 내는 등 정상화 단계에 접어들었는데도 사측은 좀더 참아달라고만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HDPE는 공업용 필름,각종 용기등 플라스틱류,파이프 등의 원료로 대한유화는 연산 39만t,호남석화는 연산 36만t을 생산해왔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