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0년까지 2조6천억원을 투자,대덕 밸리를 동북아 연구개발(R&D)허브로 육성하는 야심찬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대전시는 최근 '대덕 밸리 동북아 R&D허브 구축 전략보고회'를 갖고 오는 2010년까지 국비와 시비,민자를 포함, 총 2조5천8백54억원을 투입해 대덕 밸리를 동북아 R&D허브로 육성한다는 청사진을 발표했다. 대전시는 이를 위해 △다국적기업 R&D센터 유치를 위한 특구 조성 등 R&D 핵심거점 구축 △연구성과에 대한 산업화 시스템 마련 △국제 R&D 비즈니스 여건조성 등 3대 전략을 제시했다. 대전시의 이같은 계획은 대덕 밸리의 R&D 인프라를 살려 지역경제를 좀더 활성화시켜 보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2조원이 넘는 자금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지,국내외 기업들의 R&D센터를 얼마나 유치할 수 있을 것인지 등 난제가 적지 않아 청사진대로 추진될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 허브 구축 전략 =대전시는 동북아 R&D허브 구축을 위해선 다국적 기업 R&D센터를 유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판단, 2천8백억원을 들여 특구를 조성할 방침이다. 여기엔 △외국 유학생 전용 기숙사와 외국인 주거전용 단지 △외국인 학교 △외국인 전용 테크노 MBA 확대 △외국인 전용 의료시설 등이 들어서게 된다. 대전시는 이와 함께 △R&D 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기술연구원 건립 △첨단미디어 기술연구센터 운영 △해외과학기술인 자문 △기술상업화센터 건립 등 4개 분야 26개 사업에 1조3천6백73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종합과학박물관 건립 등 인프라 조성을 위한 4개 분야 14개 사업에 2백88억원, 국제 R&D 비즈니스 여건조성 4개 분야 22개 사업에 1조1천8백93억원을 투자한다. ◆ 과제 =R&D 특구나 국제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 외국통화의 통용과 외국교육기관 설립운영, 외국인 의료시설 등을 개설하려면 현재의 국내법으로는 어려움이 많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특별법 마련과 정부의 예산지원이 어려울 경우 독자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지만 2조원 이상 소요되는 거대 프로젝트를 지자체가 추진한다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는게 중론이다. 대전=백창현 기자 chbai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