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신임 정국과 이라크 파병결정을 계기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정치적 여당'인 통합신당이 상호관계의 재설정 움직임을 뚜렷하게 보이고 있어 노 대통령의 입당 문제를 비롯해 상호관계의 귀추가 주목된다. 통합신당은 `자타 공인의 정치적 여당'임을 주장해왔으나 노 대통령은 통합신당출범 직전 민주당 구주류에 대한 비판과 신당 출범의 정치적 의미 평가를 통해 `신당 편향'을 보이면서도 `지독한 여소야대'의 4당체제하에서 국정운영을 위해 신당과 거리를 둬왔다. 그러나 재신임과 이라크 파병결정 문제를 계기로 노 대통령에 대해 누적된 신당측의 불만 표출과 노 대통령의 신당과 관계 `정상화' 뜻 표명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노 대통령이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출국하기 전날 김원기(金元基) 창당주비위원장을 청와대로 불러 오찬을 함께 하고 "앞으로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힌 것이 노 대통령의 대(對) 신당 관계 재설정 모색의 단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김 위원장은 청와대 회동 후 사흘째인 21일에도 당.청간 `긴밀한 협력'을 거듭강조하면서 `일심동체'임을 부각시켰다. 이해찬(李海瓚) 창당기획단장도 "사실 노 대통령이 2-3주전 재신임 결정에 앞서연말 개각 구상을 갖고 내게 의견을 내라고 했다"고 말해 노 대통령과 통합신당 지도부간 교감 사실을 뒷받침했다. 통합신당의 외부인사영입위원장인 정동영(鄭東泳) 의원도 지난 8일 노 대통령의연말 내각개편을 기정사실화하면서 현 각료 일부의 총선 영입 방침을 밝힘으로써 노대통령이 최소한 이달 초순부터는 통합신당의 지도급 의원들과 정국운영 방향에 관해 교감해왔음을 보여줬다. 이에 따라 오는 27일 실질적 정당의 모습을 띠는 창당준비위 출범을 앞두고 노대통령이 통합신당의 `정치적 여당' 주장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고, 종국적으론 `저명하고 유력한' 당원으로 신당에 참여하는 수순 밟기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관측이제기된다. 재신임 정국에서 신당을 중심축으로 정치개혁의 드라이브를 걸어야 하는 상황과,이라크 추가파병 문제를 원만하게 매듭지어야 하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앞으로 통합신당과 청와대간 관계가 긴밀해질 수밖에 없다는 게 일반적인 예상이기때문이다. 천정배(千正培) 신기남(辛基南) 의원 등의 재신임 투표전 청와대 개편 드라이브와 이광재(李光宰) 국정상황실장의 사표 제출은 앞으로 양자간 관계 재설정을 위한기반조성의 성격을 띠었다고 할 수 있다. 신기남 의원은 21일 MBC라디오에 출연, 당-청간 권력다툼 시각에 대해 "문제의본질과 우리의 본심을 헤아리지 못한 것"이라며 "재신임 정국에서 청와대와 대통령,신당할 것 없이 위기의식을 갖고 공동 책임져야 한다"고 말하고 재신임전 내각 개편주장에 대해선 "지금하면 혼란이 크다"고 자신들의 주장에 선을 그었다. 이에 따라 노 대통령이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귀국 후 이광재 실장의 사표를 비롯해 청와대 개편 요구에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노 대통령과 통합신당간 관계 설정 방향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신기남 의원은 "신당이 나름대로 청와대의 전면개편 등 여러가지 대책을 강구해(노 대통령에게) 문서 등으로 건의하고 요구했는데 중론이 반영되지 않아 왔다"며 "이번에 쇄신요구 강도가 세므로 (노 대통령이) 숙고할 것이고, 응답을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현기자 jahn@yna.co.kr shch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