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주택 및 펜션업계가 내년 7월부터 시행되는 9백평(3천㎡) 이상의 건축물에 대한 '선시공·후분양'제의 직격탄을 맞을 전망이다. 그동안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분양을 하는 사업방식에 제동이 걸려 자본력이 취약한 상당수 업체가 시장에서 도태될 것으로 보인다. 전원주택정보업체인 드림사이트코리아 김영태 차장은 "전원주택시장은 땅값이 비싼 수도권 인근의 공급이 크게 위축되고 대규모 단지형 펜션공급도 어려워질 것"이라면서 "하지만 9백평 이상으로 규정돼 있어 소규모 단지의 난립 우려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전원주택·펜션 직격탄 후분양제가 실시될 경우 현재 단지형으로 전원주택이나 펜션을 분양하고 있는 업체들의 고전이 예상된다. 특히 최근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펜션업체가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펜션시장은 초기의 '개별형 펜션'에서 최근에는 수십동이 한꺼번에 들어서는 '단지형 펜션'으로 옮겨가는 추세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펜션업체들은 토지의 일부분을 매입한 후 분양을 통해 모은 자금으로 토지를 추가 매입하는 '편법'을 사용해 왔다. 이 때문에 분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공사지연 등의 각종 사고가 잇따랐다. 실제로 지난 6월께 제주도에서 펜션분양에 나선 I업체는 토지매입은 물론 형질변경도 되지 않은 대지를 대상으로 펜션분양에 나서 물의를 빚기도 했다. 전원주택 업체들도 분양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땅값이 평당 1백만원이 넘는 수도권 인근의 경우 수천평에 달하는 대지를 사업 전에 매입하기는 현재 전원주택업체들의 자금사정이나 공신력으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수도권 공급이 크게 위축돼 기존 전원주택단지가 '반사이익'을 누릴 전망이다. ◆업계 난립구조 재편 기회될 듯 현재 국내 시장은 펜션업체들의 난립이 심각한 수준이다. 아파트나 오피스텔 시장 진입이 어려운 상당수 업체들이 '펜션전문업체'라는 간판을 내걸고 최근 1∼2년 새 시장에 뛰어들어 펜션분양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올들어서만 지금까지 전국적으로 무려 59개 단지에서 펜션 분양이 이뤄졌으며 공급된 객실수도 7천여실에 달한다. 이는 전국 콘도객실수 1만5천여개의 절반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이 가운데 20여개 단지가 강원도에 몰려있어 '과잉공급'이라는 지적까지 나오고있다. 펜션업계 관계자는 "현재 펜션분양을 준비 중인 상당수 업체들이 내년 상반기까지 물량을 대거 쏟아낼 것"이라며 "하지만 법 시행 이후는 현재와 같은 단지형 펜션 난립이 다소 완화되는 시장정화 기능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