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경기도지사는 22일 "중국의 발전을 볼 때평택항이 빠진 물류허브 계획은 비현실적인 것"이라면서 중국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항의 동북부 지역 물류허브 발전 가능성을 염두에 둔 계획 추진이 필요하다고밝혔다. 손 지사는 이날 서울 힐튼호텔에서 열린 대한상의 주최 조찬간담회에서 '21세기동북아 경제시대 경기도의 비전과 전략'을 주제로 강연하면서 칭다오항의 컨테이너처리능력이 곧 1천만TEU로 늘어나 부산항을 추월하게 될 것이라며 이렇게 밝히고 "동북부의 물류허브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평택항을 빨리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과 어떻게 협력, 협조하며 상대할 것인가가 우리경제의 미래를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중국을 우리의 뒷마당 정도로 생각해서는 안되며 경쟁할 생각보다는 보완적 협조관계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중화학에서 첨단산업으로 경제중심이 옮겨가면서 수도권의 중요성이더 커지고 있다"면서 "수도권이 세계 최대의 LCD 클러스터로 자리잡은 것처럼 첨단산업 중심지로 육성해 나가는 것이 경기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생존전략이 돼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서는 사회간접자본 인프라와 함께 연구개발(R&D)을 위한 인적(人的) 인프라가 구축돼야 한다면서 경기도가 파주 통일동산 인근 8만여평에 추진중인'영어마을'을 인적 인프라 구축의 한 예로 들었다. 손 지사는 "경기도의 경쟁력은 인적 인프라에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나노, IT, BT 등 첨단산업을 집중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기업이 잘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절체절명의 과제"라고 강조하고 정부의 각종 규제정책이 기업을 외국으로 내몰고 있는 만큼 수도권 규제를 혁신적으로바꾸고 공무원들도 유연한 사고를 갖고 정책을 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도자는 자기책임하에 일을 추진할 수 있는 리더십을 갖고 있어야 한다"면서 "북한산 터널 관통 등의 국책사업이 진행되지 못하는 상황은 반드시 극복돼야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손 지사는 청와대 일부 참모들이 이라크 전투병 파병시 사퇴하겠다는 발언한 것과 관련, "시민단체나 대학생이라면 이해가 가지만 대통령 수석비서관이 어떻게 그런 얘기를 할 수 있느냐"고 비난하고 "'우리 안보상황이 이 정도면 되겠지'하는 생각은 우리경제의 바탕이 되는 사회적 안정을 해치는 요소"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엄남석기자 eomn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