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23일 고 건(高 建) 국무총리와 관계 국무위원을 출석시킨 가운데 열린 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대통령 측근비리와 SK비자금 사건 등 정국현안을 놓고 격렬한 공방을 벌였다. 특히 한나라당 의원들은 측근비리에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연루됐다고 주장하면서 `탄핵'과 `하야'를 주장했고, 열린 우리당측은 대선자금 수사를 SK비자금에 국한하지 말고 확대하라고 촉구했다. 한나라당 김기춘(金淇春) 의원은 "측근비리에 대해 노 대통령이 `미리 알고 있었다', `내가 모른다고 할 수 없다', `눈앞이 깜깜했다'고 말한 것은 비리에 연루됐음을 자백한 것이나 다름없고 이는 탄핵사유"라면서 "구차하게 재신임에 매달리지 말고 노 대통령은 즉각 하야하라"고 주장했다. 홍준표(洪準杓) 의원은 "노무현 정권을 퇴진시키고 야 3당이 국익을 중심으로 굳게 뭉쳐 대안을 만들고 국민후보를 옹립해 나라와 정권을 안정시켜야 한다"고 주장했고, 김락기(金樂冀) 의원도 "민생파탄과 국가위기의 중심에 노 대통령이 있고,노 대통령에 대한 국민 불신이 회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며 "국민에게 모든비리를 밝히고 스스로 하야하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우리당 천정배(千正培) 의원은 "한나라당은 다수당의 힘으로 대통령직을 흔드는 정략적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며 "안기부돈 횡령사건과 관련해 법원이 유죄판결을 선고한 만큼 당을 해산하고 청산절차를 밟더라도 국고 횡령금을 반납하고 강탈한 불법 정치자금을 기업에 반환하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SK 비자금 100억원은 한나라당의 공조직과 국회의원들의 불법선거자금으로 사용된 것이 명백한 만큼 검찰총장은 대선 당시 한나라당 공.사조직 관계자를 모두 소환해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며 "미래의 권력을 등에 업고 강압에 의해 정치자금을 모금한 것이 SK 하나에 대해서만 이뤄졌을리가 없는 만큼 대선 자금 수사를 확대해 차제에 과거 정치자금에 대한 불법 비리를 발본 색원하라"고 촉구했다. 자민련 정진석(鄭鎭碩) 의원은 "재신임 하나만 묻는 방식이 위헌이라면 총체적 국정불안의 원인을 제거하고 합헌적으로 국민투표를 실시하는 방안으로 정정당당하게 개혁적 개헌안을 놓고 국민의 뜻을 묻자"며 내각제 개헌 국민투표를 제안했다. 한나라당 조정무(曺正茂) 의원은 "건대 재단의 스타시티 사업은 교육부, 서울시, 광진구가 합법을 가장해 건국대에 향후 30년간 1조7천434억원의 엄청난 사업이익을 안겨준 전형적 특혜성 사업"이라며 "부지 불법 용도변경은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위법한 처분으로 직권취소하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조성준(趙誠俊) 의원은 "절대 빈곤인구가 인구의 10%를 넘어섰고, 차상위계층까지 합하면 700만명이 빈곤인구인데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수급자수는 2001년 155만명에서 135만명으로 줄어들었다"면서 복지관련 예산 대폭 증액과 `차상위계층'에 대한 부분급여 실시 등 전면적인 빈곤대책 수립을 촉구했다. 김성순(金聖順) 의원은 "국민연금기금 고갈에 대한 국민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어떤 경우에도 연금은 지급한다'는 국가 연금지급 보장선언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고령사회에 대비해 대통령 직속 `고령사회대책위원회'를 구성하라고 요구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현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