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철도 한반도 제외.. 동북아 물류중심 계획 차질 불가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동북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유라시아횡단철도사업에서 한국이 소외될 위기에 놓였다.
24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아시아횡단 철도 북부노선 컨테이너 시범운송 사업' 추진기구인 UN산하 아·태경제사회이사회(ESCAP)는 최근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한국 러시아 중국 몽골 카자흐스탄 등과 관련국회의를 열고 한반도 관통노선을 제외한 4개 노선에 대해서만 내달부터 시험운행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은 '한반도 관통노선을 포함한 5개 노선의 동시시험운행'을 주장해왔으나 러시아 중국 몽골등 나머지 관련국들이 '남북한 철도연계 불투명'을 이유로 4개 노선 우선운행안을 강력히 주장해 채택된 것으로 확인됐다.
러시아와 중국 등 관계국들은 시험운행 평가결과가 나오는 내년말부터 중국의 톈진,러시아의 보스치니아 등을 출발지로 본격적인 대륙횡단 서비스를 전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한반도는 유라시아 철도연계사업에 소외될 뿐만 아니라 대륙철도망과 부산 광양항등의 해양운송망의 연계를 통한 동북아 물류중심(허브)을 구축하려는 계획에도 차질이 생길 것으로 우려되고있다.
특히,대륙횡단철도 출발지가 중국과 러시아 연안에 우선 구축될 경우 노사분규등으로 중국행 환적화물등을 상실할 위기에 놓여있는 부산항에 치명적인 타격을 줄 가능성도 지적되고있다.
울란바트로 회의에 참석했던 관계 전문가는 "북한의 비협조로 남북철도가 언제 연결될 지 불투명한 상태에서 다른 노선에 대한 시험운행까지 계속 미루자고 주장할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한편,ESCAP는 다음달 8일부터 내년 6월까지 순차적으로 △중국 천진∼몽골 울란바토르 △중국 연운항∼카자흐스탄 알마티 △러시아 보스토니치∼독일 베를린 △벨라루스 브레스트∼몽골 울란바토르 등 4개 노선에 대한 시험운행에 들어간다.
이사회측은 각 노선별로 동북아의 화물을 유럽으로 싣는데 드는 비용,거리,시간,안전성 점검및 평가를 거쳐 내년말까지 화물 통관 및 검역 등에 대한 국제표준도 마련키로 했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