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방어제도 역차별 심하다] 글로벌펀드도 '공격투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경기 회복과 함께 글로벌 펀드들의 투자패턴이 공격적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도 경영권을 방어해야 하는 기업들의 입장에서는 커다란 부담이다.
몇년 전까지만해도 글로벌펀드들은 돈될만한 주식을 사놓고 주가가 오르기를 기다리는 수동적 투자 자세를 보였었다.
하지만 최근들어서는 투자이익이 기대되는 대상을 물색한 뒤 직접 이익을 만들어가는 능동적 투자패턴으로 전환하는 추세다.
SK(주)주식을 매입한 뒤 이런 저런 간섭을 하고 있는 소버린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특히 금융위기를 겪었던 나라에서는 글로벌 펀드들이 회생 가능한 기업을 매수해 예정된 수순에 따라 구조조정과 개혁을 요구, 기업가치를 올린 뒤 다시 매각하는 투자패턴이 보편화되다시피 했다.
경영권 확보를 목적으로 지분을 늘려나가는 적대적 M&A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이제는 우호적 M&A와 적대적 M&A의 경계선도 모호해졌다.
글로벌 펀드들의 투기성향은 투자원금에 대비 총투자 가능금액을 나타내는 레버리지(leverage) 비율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는 데서도 잘 알 수있다.
헤지펀드의 경우 아시아 외환위기와 러시아 채무불이행(모리토리움) 사태를 겪으면서 레버리지 비율을 20배에서 2000년 하반기에는 5배로 대폭 낮추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다시 10배 이상으로 높였다.
더욱 주목되는 것은 헤지펀드 이외의 다른 글로벌펀드들의 레버리지 비율도 함께 올라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글로벌펀드가 그만큼 투기자본이 돼가고 있다는 방증이다.
일반적으로 중장기 펀드로 평가돼 왔던 뮤추얼펀드들도 최근 들어서는 운용기간이 단기화되면서 레버리지 비율이 올라가고 있다.
한상춘 논설ㆍ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