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미국 근로자 임금 인상이 한동안 미국 경제를 떠받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이 27일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미 상무부가 오는 30일 발표할 3.4분기(7-9월)중 경제지표를 통해이 기간의 경제성장률이 전분기의 3.3%에서 6%로 상승, 지난 99년 이래 최고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을 것으로 예측하며 이같은 경제성장세는 소비자 지출 급증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20년만의 최고수준인 실업률에도 불구, 미국 근로자들의 시간당 임금은 2001년이후 최고 수준으로 높아져 소비자 지출로 연결되면서 미국 경제를 떠받치는 힘이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워싱턴 소재 미노동부 부설 경제정책연구소(EPI)의 추정치에 따르면 3.4분기 미국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지난해 초반보다 2% 나 오른 시간당 14달러에 달한다. 소비자 지출 증가에는 이 기간에 조지 부시 행정부가 실시한 감세조치로 각 가정의 가처분 소득이 늘고 군수물품을 중심으로 재정지출이 늘어난 것도 한몫했다. 그러나 상당수 경제전문가들은 아직도 많은 미국 가정의 소득이 1년전 수준을회복하지 못하고 있는데다 의료보험 부담도 커지고 있어 임금 인상폭이 더 확대돼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물론 이런 시각은 임금인상폭만큼 생산성도 확대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 것으로 모건 스탠리의 전문가 리처드 버너는 "기업들은 근로자들로부터 보다 많이 얻어내지 못하면 임금을 올려 줄 여력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에서 28일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28일 개최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결정될 기준금리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지적했다. FRB 관리들은 당분간 금리를 1% 로 낮게 유지할 것임을 밝힌 바 있어 아직까지는 느린 고용회복세와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거두지 않고 있음을 시사해왔다. 뉴욕타임스는 그러나 소비자 지출 증가세에 의존하는 경제성장에는 한계가 있으며 성장세가 유지되려면 결국 얼어붙어있는 미국 기업들의 투자 재개가 관건이라고지적했다. 시티그룹의 미국담당 전문가 로버트 디클라멘트는 "소비자 부문에서 기업부문으로 완전히 공이 넘어가는 것이 핵심"이라며 "기업부문이 재고를 채우고 고용을 늘리고, 제품을 홍보하고 임금 인상에 기여해야한다"고 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채희기자 chaeh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