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이례적으로 공식 보고서를 통해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 값의 거품 가능성을 제기했다. 한국은행은 5일 발표한 '금융 안정보고서'에서 "전국 부동산의 실질가격 지수가 2001년 오르기 시작해 작년부터는 전국 아파트의 실질가격이 1989년 이후 14년간의 장기평균을 상회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 9월 현재 강남 아파트의 평당 실질가격은 장기 평균가격의 1.8배로 거품이 고조됐던 1991년 5월(1.4배)을 크게 웃돌았다고 한은은 지적했다. 한은은 이 보고서에서 "서울 아파트의 평당 실질가격도 장기평균을 상회해 1980년대 말 최고 수준에 근접해 있다"며 "전국 실질가격보다 특정지역(강남)이 높은 것은 주거 환경,주택 수급 등의 가격 차별화 요인이 반영된 것이지만 동시에 거품의 존재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박승 한은 총재가 부동산 가격 급등의 부작용을 거론한 적은 있지만 한은이 중앙은행으로서 공식 보고서에 부동산 거품 우려를 제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고서는 "소득 대비 부동산 가격은 1980년대 말에 비해 아직 낮은 수준이지만 작년 이후 서울(특히 강남)은 장기평균이나 최근 10년간 평균을 웃돌고 있어 가계가 체감하는 아파트 가격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또 자본이득 가능성이 전혀 없는 아파트 전세가격이 작년 4분기 이후 안정세여서 최근 아파트값 급등은 주택 수급보다 매매차익을 겨냥한 투기적 요인이 크게 작용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때문에 아파트 전세가격 대비 매매가격 비율이 3.2배로,최고치였던 1991년 상반기(3.4배)에 근접해 있다는 것이다. 한편 한은은 부동산 가격이 장기간 하락할 경우 △가계 채무상환 능력 약화와 소비위축에 따른 경기둔화 △자금운용상 제약 등 은행 경영의 부정적 효과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오형규 기자 o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