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관용(朴寬用) 국회의장과 4당 원내총무.정책위의장 회의에서 내년 총선전 지구당 폐지, 완전선거공영제가 합의된 후 각 당은 6일부터 구체적 개혁안 마련에 본격 착수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물론, 사고지구당 개편을 진행중인 민주당과 창당작업을 해야 하는 열린우리당 내부에서도 즉각적 지구당 폐지를 둘러싼 이견이 만만치 않고,정치개혁안의 주요 쟁점인 선거구제 개편 등과 관련해서도 각당의 견해차가 커 개혁안 마련에 진통이 예상된다. 특히 전경련이 이날 경제단체를 통한 정치자금 제공 및 선관위 지정계좌로 정치자금 일원화 등을 골자로한 파격적인 정치개혁안을 제시함에 따라 12일까지 국회 정치개혁특위에 제출키로 한 각 당의 개혁안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한나라당은 이날 상임운영회의를 열고 내주 초까지 당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정치개혁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해 상임운영위와 의원총회를 거쳐 당론을 확정키로했다. 최병렬(崔秉烈) 대표는 오전 상임운영위원회에서 "돈 안드는 선거를 위해서는현재 지구당 조직을 동원한 조직선거가 제일 문제된다"며 "완전 선거공영제를 전제로 지구당 조직이 해체돼야 하며, 다만 민원, 당원관리 등을 위한 사무실과 상근자는 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당론으로 채택하고 있는 소선거구제에 대해 당내 일부 이견이 존재하는데다 지구당폐지 방침에 대해서도 반대의견이 많아 의원총회 논의과정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민주당도 이날 비상대책위 전체회의를 갖고 지구당 폐지 합의에 따른 대책 등을논의한뒤 7일 의원총회에서 당론을 수렴키로 했다. 정균환(鄭均桓) 총무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구당을 폐지해야 한다는 원칙에합의했지만, 한나라당은 사무실은 유지한다고 하고 열린우리당은 관리위원장을 두자고 해 각자의 이해에 따라 모순된 주장을 하고 있다"면서 "선거구제를 중대선거구로바꾸면 지구당 폐지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된다"며 지구당 폐지를 중대선거구제 도입과 연계시킬 것임을 분명히 했다. 김영환(金榮煥) 정책위의장은 "사고지구당 정비를 해야 하기 때문에 지구당 폐지에 현실적인 걸림돌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은 현행 정당법상 11일 중앙당 창당대회까지 49곳의 지구당 창당작업을 예정대로 추진하되 각당이 선거구제에 관한 입장을 밝힐 12일 이후 지구당 창당계속 여부를 논의키로 했다. 정동채(鄭東采) 홍보위원장은 "철두철미한 논의를 통해 대응방안을 마련키로 했다"며 "정치개혁 문제는 당 지도부 등 소수 판단이 아닌 전체의 의견을 듣고 집중토론을 통해 공개적으로 결정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정(李在禎) 총무위원장은 "한나라당이 진정 정치개혁에 뜻이 있다면 현행소선거구제를 중대선거구제로 개정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현재기자 kn020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