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 Strategy] '그린사이드 벙커샷 토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상황
볼이 그린옆 벙커에 빠졌다.
라이가 그런대로 괜찮아 3온2퍼트는 무난한 상황.
그러나 내려친 클럽헤드는 모래 대신 볼을 맞히며 볼은 그린을 훌쩍 넘어버린다.
OB.트리플보기 이상의 스코어는 차치하고라도 심정이 착잡해진다.
대부분의 골퍼들이 경험하는 '벙커샷 토핑'(skulled shot)을 막을 수 없을까.
◆전략
벙커에서 클럽헤드가 볼부터 치면서 발생하는 '벙커샷 토핑'(속칭 '홈런')은 크게 세 가지 잘못에서 비롯된다.
첫째 그립에 문제가 있을 때다.
벙커샷은 스윙내내 클럽페이스가 오픈돼 있어야 한다.
그래야 클럽헤드가 모래를 잘 빠져나간다.
페이스 오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위크(weak) 그립'(평상시 그립에서 양손을 왼쪽으로 약간 돌려준 그립,왼손 엄지가 샤프트 맨 위에 옴)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평상시 롱게임을 하던대로 스트롱그립을 하고 벙커샷을 하면 클럽헤드가 모래를 너무 많이 파거나 볼부터 맞힐 확률이 높아진다.
둘째 오른손을 많이 쓸 경우에도 이런 샷이 자주 나온다.
벙커샷 성공의 요체중 하나는 왼팔이 스윙을 리드해야 한다는 것.
테니스에서 왼팔 백핸드 스트로크를 연상해 보라.
그래야 클럽헤드가 모래를 잘 헤쳐나갈 수 있고,폴로스루와 하이 피니시도 이뤄진다.
오른손을 쓰는 것은 볼을 일부러 쳐올리는 동작(스쿠프)을 의식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임팩트존에서 왼손목이 굽어지거나 오른손이 왼손 위로 올라가면서 실수가 나온다.
미 골프매거진은 이와 관련,"왼손으로만 클럽을 잡고 오른손은 왼손 위에 겹쳐있도록 한 상태에서 벙커샷을 하면 토핑을 막을수 있다"고 조언한다.
프레드 커플스는 몇년 전 미PGA투어 최종일 최종홀 그린사이드 벙커에서 오른손은 가만히 둔채 왼팔 위주로 한 벙커샷을 홀인시켜 우승한 적이 있다.
셋째 스윙도중 하체가 움직이면 토핑이 나온다.
벙커샷은 어드레스때의 하체 모양과 높이가 임팩트 후에도 그대로 유지돼야 한다.
그러나 쳐올리는 동작을 하거나 결과를 먼저 보려는 나머지 몸을 일으키면 하체 틀이 망가지면서 볼부터 맞힐 수 있다.
◆멘탈 포커스
볼 뒤 3∼5㎝ 지점을 쳐주기만 하면 볼은 탈출하게 돼 있다는 자신감,볼을 홀에 붙이기보다는 그린에 올려 2퍼트로 마무리한다는 겸손함을 지니면 홈런성 타구는 나오지 않는다.
김경수 기자 ksm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