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읽기] 美 증시, 연말 랠리 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요즘 대내외 증시에서 최대관심사는 연말을 앞두고 랠리(상승장세)가 전개될 것인가 하는 점이다.
특히 미국증시에서 이 논란이 심한 것은 세계 어느 국가보다 증시여건이 개선되고 있는 데다 주가 향방에 따라 세계증시가 좌우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 뉴욕 월가에서는 낙관론이 우세한 속에 신중론이 맞서고 있다.
무엇보다 증시의 기초여건이 개선되고 있는 점이 낙관론의 근거다.
미국경기는 올 3·4분기 중 7.2%의 성장률을 기록한데 이어 4·4분기 이후에도 4%대의 높은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미국기업들의 실적도 분기가 지날수록 개선되는 정도가 높아지는 추세다.
반면 신중론자들은 경기적인 면에서 아직까지 고용사정이 뚜렷하게 개선되지 않고 있는 데다 경제 외적으로 불확실한 변수가 많기 때문에 성급한 연말 랠리 논의는 경계해야 한다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현 주가수준이 경제여건에 비해 높다는,거품차원에서 신중론을 제기하는 시각도 주목된다.
앞으로 미 증시는 어떻게 될 것인가.
요즘 뉴욕 월가에서 주가예측이론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조지 소로스의 자기암시가설을 토대로 이 문제를 평가해 본다.
먼저 이 이론의 골자를 다시 한번 정리하면 이렇다.
통상적으로 어떤 국가의 경기가 침체에 빠지면 이때의 주가는 실제 경제여건보다 더 낮게 형성된다(AB).경기침체로 투자자들의 심리가 '비관'쪽으로 쏠리면서 급격히 위축되기 때문이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투자자들 사이에는 경제가 개선되고 있다는 견해가 나오기 시작한다.
점차 투자 심리도 '낙관'쪽으로 옮겨오면서 주가상승 속도가 경제여건 개선속도보다 빨라지는 1차 소(小)상승기를 맞는다(BC).주가상승의 성격은 유동성 장세다.
이 추세가 지속되면 주가상승이 언제까지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기면서 낙관 쪽으로 몰렸던 투자자들의 쏠림 현상이 흐트러진다.
결국 향후 주가에 대해 낙관론과 비관론이 얽히면서 맴돌이(조정) 국면을 맞게 된다(CD).
이때 경기와 기업실적이 뒤따라 오느냐가 중요하다.
만약 경기와 기업실적이 뒤따라 오면 투자자들의 심리가 재차 낙관 쪽으로 쏠리면서 주가가 1차 소상승기보다 더 오르는 2차 상승국면을 맞게 된다(DE).이때 주가는 기업실적에 따른 차별화(nifty-fifty) 장세다.
마지막으로 어느 순간 거품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한동안 낙관 쪽으로 쏠렸던 투자자들의 심리가 흐트러지면서 재차 맴돌이 국면을 맞는다(EF).과거와 달리 이때는 금리인상에 대해 투자자들은 과민하게 반응한다.
이 상황에서 경기와 실적이 뒤따라 오면 3차 소(小)상승기를 맞게 된다.
반대로 경기와 실적악화가 지속될 경우 투자자들의 심리가 비관쪽으로 쏠리면서 주가는 실제 경제여건보다 더 떨어지는 과잉조정 국면에 직면한다(FG).
이번 경기와 주가흐름을 기준으로 한다면 9·11 사태 이후 1차 소상승기와 1차 맴돌이 국면을 끝낸 미국증시가 그동안 2차 상승국면에 진입하지 못한 것은 미국 기업들의 분식회계와 이라크 전쟁이 잇달아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제는 이런 장애요인이 마무리되고 경기회복과 기업실적이 개선됨에 따라 2000년 이후 3년 만에 연말 랠리(혹은 대세상승)가 올 것인가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요즘 월가의 분위기다.
국내증시는 어떻게 될 것인가.
이라크 전쟁 이후 미 증시와의 동조화가 심해지는 점을 감안하면 미국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만으로 국내증시의 분위기를 호전시키는 데 상당한 효과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증시 주변여건은 시중부동자금이 여전히 많다.
정책적으로도 내년 총선을 앞두고 '경제살리기'에 최우선 목표를 둘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시중부동자금을 증시쪽으로 유입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주가도 일단 연말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나 경기와 기업실적과 같은 증시여건이 개선될 때까지 변동폭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