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신약개발 예산 확보 난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보건복지부가 차세대 성장동력사업추진 주체에서 제외되고 세부과제 추진과정에서도 주도권을 행사하지 못하면서 국산 신약개발 투자계획이 차질을 빚게 될 조짐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차세대 성장동력사업이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등 3개 부처 위주로 추진되면서 복지부가 신약개발 지원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예산을 투입해 개발된 신약 후보물질들의 임상시험,인허가 절차가 지연되고 의약품 평가기술개발 지원에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된다.
임상시험,의약품 평가의 경우 10억달러 규모가 투입되는 전체 신약개발 과정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복지부는 지난 10월 뒤늦게 차세대 성장동력기획단을 발족했으나 바이오신약 장기부문 세부사업안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임상시험,의약품 평가 분야에 대한 정부지원이 차질을 빚으면서 BT(바이오기술)상용화에도 타격을 줄 것으로 관계자들은 분석하고 있다.
첨단 바이오 제품은 안전성,유효성 평가를 위한 가이드 라인 개발에 오랜 시간과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복지부 산하 식약청에 임상시험 및 상담을 신청한 17개 BT제품 중 상당수가 가이드 라인 미비로 1년 이상 허가가 지연되고 있다.
식약청 관계자는 "유전자재조합,세포융합기술 등 BT분야 원천기술은 선진국의 80% 수준이지만 의약품 평가기술은 30% 수준에 불과하다"며 "BT분야 차세대 성장동력사업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선 평가기술개발에 대한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송대섭 기자 dss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