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4년 이상 불법 체류 중인 외국인 근로자들이 강제출국 시한(15일)을 하루 앞두고 크게 술렁이고 있다. 이들이 집단으로 거주하고 있는 경기도 안산 일대에선 피신처와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외국인들로 분주했다. 또 이들을 고용한 업체나 집을 세준 방주인들도 덩달아 걱정스러운 표정들이었다. 13일 현재 출국한 불법 체류자는 1만3천여명으로 아직도 10만여명이 한국을 떠나야 한다. ◆ 술렁이는 안산 일대 =경기도 안산시 원곡동 일대는 회사를 정리하고 피신처를 찾는 불법 체류자들로 하루종일 분주했다. 이들의 숫자는 5천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또 아직 직장을 구하지 못한 3년 이하 체류자들은 구직 마감시한을 맞추기 위해 일자리 구하기에 동분서주했다. 방글라데시 출신으로 체류 4년이 넘은 이카라씨(31)는 "지금 가면 다시 돌아올 수 없어 귀국을 포기했다"며 "회사 사장님도 좋아하는데 왜 쫓아 내려는지 모르겠다"며 강제출국 조치를 원망했다. H산업 사장 이모씨(42)도 "종업원 10명 중 5명은 불법체류자인데 이들이 피신을 위해 떠나면 공장문을 닫아야 할 형편"이라고 하소연했다. 외국인들의 이탈이 본격화되면서 이들에게 방을 빌려줬던 원곡동 선부동 일대 1백여개 고시원 업주들도 비상이 걸렸다. 평소 20∼30개의 방을 꽉 채웠던 고시원들은 요즘 30%의 임대율을 보이고 있다. 원곡동 고시원연합회 이정섭 회장(57)은 "외국인이 떠나면 방을 비워둘 수밖에 없어 고민"이라고 전했다. ◆ 무더기 국적 신청 =조선족 국적회복 운동을 벌이고 있는 서울 조선족교회는 이날 서울 여의도 한강 둔치에서 조선족 5천여명이 참석한 집회를 갖고 5천5백25통의 국적 신청서를 법무부에 개별 제출했다. 하지만 신청자 가운데 85% 가량은 4년 이상 불법 체류에 따른 강제출국 대상자여서 국적 취득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법무부는 불법체류자들에 대해선 접수거부확인증을 교부했다. 법무부 관계자는 "적법한 서류와 절차를 갖추지 않고 단지 강제 추방을 피하기 위한 목적이라면 국적 부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김희영ㆍ이관우 기자 songk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