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산 보졸레 누보와인 시즌이 돌아왔다.


매년 11월 셋째주 목요일을 기해 전세계적으로 보졸레 누보 판매가 시작된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올해 수입량은 약 70만병.지난해보다 10만병이나 늘었다.


수입업체와 백화점들도 보졸레 누보 판매에 혈안이 돼 있다.


하지만 이런 과열 분위기에 대한 비판 여론이 적지 않다.


와인 전문가들은 보졸레 누보 바람이 왜 부는지 모르겠다는 투다.


이들이 한결같이 보졸레 누보는 와인다운 와인이 아니라고 지적한다.


매년 8월에 나는 포도를 따다 3개월만에 와인으로 나오기 때문에 와인의 숙성된 맛은 나지 않는다는 것.이 때문에 프랑스인들조차 보졸레 누보를 와인으로 인정치 않는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한국 판매가격도 터무니 없다는 반응이다.


프랑스에서 2~8유로(2천6백~1만원)에 불과한 저가 포도주가 한국에선 5만~8만원 가량에 팔린다는 것.5천원짜리 보졸레 누보가 항공수송비(원가의 1.5배),수입관세(수입원가의 15%) 주세(" 30%) 교육세(주세의 10%) 부가세 등이 붙으면 2만3백50원이 된다는 것.보졸레 누보 한병은 온통 세금덩어리라고 지적한다.


여기에 수입업자와 판매업자의 마진 3만~4만원 가량이 붙으면 5천원짜리 보졸레 누보는 바로 고가의 와인으로 돌변한다.


고기완 기자 dadad@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