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은 중동 위기 이후고조되고 있는 반유대주의를 경계하기 위해 긴급 관련장관 회의를 소집했다. 시라크 대통령은 17일 장-피에르 라파랭 총리, 니콜라 사르코지 내무장관, 도미니크 페르방 법무장관, 뤽 페리 교육장관 등을 소집해 반유대주의 대처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15일 파리 근교에서 유대 학교 방화사건이 발생한 뒤 긴급 소집된것으로 반유대주의를 용납하지 않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과시하는 동시에 반유대 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키 위한 것이다. 시라크 대통령의 이번 조치는 이스라엘의 대 팔레스타인 정책을 강력히 비판하고 있는 프랑스 정부와 지도층 사이에 다른 서구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반유대 정서가 형성돼 있다는 이스라엘 및 국내 유대계 사회의 비판을 의식한 결과인 것으로도 보인다. 프랑스 정부는 이 회의에서 반유대 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학교, 사원 등 유대교관련시설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기로 했다. 시라크 대통령은 이날 오후로 예정된 유대교 대표들과의 모임에서 반유대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정부의 의지와 방안을 설명할 예정이다. 시라크 대통령은 유대 학교 방화 사건 후 "프랑스는 반유대주의 행동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학교는 어떤 시설보다 관용과 존중의 장소가 돼야 한다"고강조했다. 프랑스는 지난 2000년부터 시작된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유혈충돌 이후 국내에서 반유대주의, 이슬람계 사회와 기독교 사회 간의 긴장이 높아지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특히 당국은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이라크 전쟁 이후 아랍계 이민 인구가 많은대도시 교외 지역을 중심으로 반유대주의, 인종주의 관련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들을 강화했다. 내무부는 이 결과 올들어 지난 9월까지 발생한 반유대주의 폭력사건은 247건으로 지난해 같은기간의 647건에 비해 61% 감소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유대계 사회는 이같은 수치가 프랑스에서 고조되고 있는 유대계에 대한위협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파리=연합뉴스) 현경숙특파원 ksh@yna.co.kr